미국 집값이 최대 20% 하락할 수 있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이어서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엔리케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수석 경제학자는 15일(현지시간) 댈러스 연은 홈페이지에 미국 주택담보대출 금리 급등의 여파로 집값이 15~20%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분석을 위해 세계 금융위기 전인 2005∼2007년의 집값 거품과 최근의 집값 상승 폭을 비교했다. 그 결과 2022년 2분기 집값은 2013년 1분기보다 94.5%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60.8%에 달하는 상승률이다. 최근 10년간의 집값 상승분 중 약 40%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2020년 1분기부터 2022년 2분기)에 올랐다.
이는 확장 재정과 초저금리로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면서 주택 수요는 증가했지만 세계 공급망 경색과 인건비·건설 자재 가격 상승 등이 주택 공급을 줄이면서 집값 거품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연준이 기준금리를 4회 연속 0.75% 포인트씩 인상하면서 미국의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달 20년 만에 7%를 넘어섰다. 이에 마르티네스 가르시아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급등에 따른 가계 부담 증가로 인해 비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집값이 최대 20%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PPI가 전년 동월 대비 8.0% 상승해 시장 전망치를 밑돌자 “우리 경제에 또 다른 좋은 뉴스가 있다”며 “인플레이션 완화가 시작됐다는 또 다른 지표”라고 강조했다.
PPI는 도매 물가로 통상 인플레이션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최근 발표된 10월 CPI도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7.7%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이 꺾였다는 신호에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폭을 0.75% 포인트에서 0.5% 포인트로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