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에 혹독한 겨울 추위가 본격화되면서전쟁을 이제 끝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The Guardian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지난 17일(목) 첫눈이 내렸다고 보도해 관심을 모았다.
첫눈이 내렸다는 것은 단순한 날씨 소식을 전한 것이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매우 추운 긴 겨울에 들어갔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겨울은 대단히 길고 혹독한 것으로 유명해서 이제 전쟁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추위와의 싸움이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러시아도 이같은 겨울의 의미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 공격에 집중하고 있다.
겨울에 에너지가 부족할 경우 우크라이나에게 치명적이어서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최대 약점을 타깃으로 공격하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가 파괴한 우크라이나 에너지 기반 시설이 상당한 숫자인데 이러한 에너지 기반 시설은 겨울을 날 만큼 충분히 복구되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겨울 종전 협상론’이 다시 고개를 드는 이유다.
BBC방송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역 주요 도시들 대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맹렬하게 미사일 폭격을 퍼부어댔다고 보도했다.
지난 15일(화) 러시아가 개전 이래 최대 공격을 퍼부은 여파로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 방공미사일 오폭 추정 사고가 벌어진 지 이틀 만인데요즘 러시아 미사일 공격은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에 집중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크라이나 중부 자역 드니프로에서는 천연가스 생산 공장과 미사일 제조 공장 등이 공격당했고, 10대 청소년을 포함해서 모두 23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드니프로 강 중류에 위치한 니코폴도 공격을 받았는데 태양열 전기 변전소 등에 러시아 포탄이 날아들어 수천 가구에 전기와 수도가 끊겼다.
자포리자 인근 빌냔스크에서는 아파트가 폭격당해 최소 7명이 숨졌다.
수도 키이우를 비롯해 서부 빈니차, 남서부 오데사, 북동부 수미 등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들도 에너지 부족으로 전력 공급을 받지못해 고통받고 있다.
이처럼 겨울이 다가오면서 러시아는 군사 시설에 연연하지 않고대신 에너지 시설을 목표로 삼아 공격을 가하고 있다.
겨울이 되면서 러시아군의 공습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 빈도도 잦아졌는데 에너지 시설이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The Guardian에 따르면, 10월 이후 국지전 이외에 대량 폭격만 6차례였다.
우크라이나를 추위와 암흑에 빠뜨려 항전 의지를 꺾으려는 전략인데러시아 의도대로 키이우에 눈이 내리고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우크라이나 겨울 에너지 위기는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우크라이나 국영 전력기업 우크레네르고는 갑작스러운 한파가 몰아쳐최근 전기가 복구된 지역에서 전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력 고갈 상황이 올 것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강제 비상 정전도 실시하고 있다고 우크레네르고는 전했다.
실제 정전사태가 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있도록 하기위해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상황이 올 경우 시민들이 엄청난 추위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효과적인 대응을 통해서 최악의 결과를 피할 수있도록 훈련의 의미를 담은 강제 비상 정전을 실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러시아의 겨울 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내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최근 탈환한 남부 요충지 헤르손에서는 주민들이 식량과 이불, 겨울옷 등 추위 관련 보급품을 받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면서 상당한 혼란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심야 대국민 연설을 통해서최근 상황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을 솔직히 시인하기도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 우크라이나 국민 1,000만여명이 매서운 겨울 추위속에 전기 없이 생활하고 있다면서러시아를 테러리스트 국가라고 지칭하며 맹렬하게 비난했다.
특히 러시아가 최근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에 집중하면서우크라이나인들에게 더 큰 고통을 가져오기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언론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종전 협상론’이 제기되는 배경에는 이처럼 겨울을 맞아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에너지 문제가 있다.
생존에 필요한 난방과 수도, 전기 없이는 전쟁을 수행하기는커녕 일상 생활을 유지하기도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 우크라이나의 현실이다.
러시아 무기보다 겨울 한파가 더 많은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어우크라이나가 계속 전쟁을 고집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게다가 러시아가 헤르손에서 퇴각하며 궁지에 몰린 현 시점이 우크라이나 입장에서 불리하지 않은 협상 적기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러시아로부터 직접적으로 협상을 원한다는 강력한 시그널을 받았다고 최근 언급함으로써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공개 협상을 하자”고 러시아측에 제안했다.
이달(11월) 들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 CIA 국장이 직접 우크라이나를 찾아서젤렌스키 대통령과 면담한 이후에 나온 발언이라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그래서 미국이 물밑에서 평화 협상을 타진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은데실제 대화가 시작될 수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여겨진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의 완전 수복을 요구 조건으로 내걸고 있어러시아와의 평화 협상이 시작조차 못하고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포함해 모든 점령지에서 철군할 때까지 평화협상은 없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아닌 후임 지도자와 협상할 것이라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수차례 강조했는데 너무나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미국을 비롯해서 서방 국가들 사이에서도 공공연하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협상을 사실상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현재 일어나는 상황의 모든 책임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종전 협상’과 관련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공개 협상 제안을 일축하며 우크라이나 책임이라고 말했다.
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협상을 거부한 건 젤렌스키 대통령이고 그 결과가 바로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습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