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중앙은 ‘완화’ 지방은 ‘봉쇄’… 혼선 커지는 中 방역


중국 정부가 과학화·정밀화라는 이름으로 방역 완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곳곳에서 주거단지가 봉쇄되는 등 현장 분위기는 거꾸로 가고 있다. 당장 코로나19 확산을 막아야 하는 지방정부가 각개전투식 방역에 나서면서 위아래 조치가 따로 노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점진적으로 방역을 풀면서 제로 코로나를 유지한다는 것 자체가 애초부터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1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날 중국 전역의 코로나 신규 감염자는 2만682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15일부터 엿새 연속 2만명을 넘어서며 감염자 수가 최고를 기록했던 지난 4월 13일(2만9317명)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당 총서기 3연임을 확정하고 폐막한 지난달 22일 838명에서 한 달 만에 30배가량 급증했다.

코로나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자 각 지방정부는 다시 방역 고삐를 죄고 있다. 이날 951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온 베이징시는 차오양구 등 확산세가 가파른 지역의 식당 내 식사를 금지하고 영화관, 헬스클럽 등을 폐쇄했다. 학교와 학원 수업도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밀접접촉자나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온 사람이 사는 주거 동이 봉쇄됐다가 해제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전처럼 단지 전체를 틀어막는 식은 아니지만 산발적으로 봉쇄 조치가 이뤄지다 보니 주민들이 체감하는 방역 강도는 더 높아졌다. 베이징에선 지난 19일 코로나에 감염된 80대 남성이 치료 도중 숨진 데 이어 90대 여성과 80대 남성이 추가로 사망했다.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코로나 사망자를 발표한 것은 지난 5월 26일 상하이 봉쇄 이후 6개월 만이다.


펑파이신문 등에 따르면 허베이성 스자좡은 오는 25일까지 닷새 동안 장안구 등 6개 구에 봉쇄 조치를 내렸다. 코로나 고위험 지역 주민은 집 밖을 벗어날 수 없고 저위험 지역에서도 외출이 제한된다. 봉쇄 지역에선 가구당 한 명만 24시간 내 PCR검사 음성증명서를 제시해야 생필품을 사러 외출할 수 있다. 후베이성 우한도 쇼핑몰과 음식점 등을 폐쇄하고 각 기업에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시진핑 집권 3기 최고지도부인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지난 10일 시 주석 주재로 회의를 열고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을 확고히 관철하되 일률적 과잉 방역은 시정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다음 날 중국 국무원 코로나 대응 합동방역통제기구는 격리기간 단축, 2차 접촉자 판정 폐지 등을 담은 방역 최적화 20개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논평에서 “코로나 예방 및 통제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다”며 “각 지역과 부처는 사상과 행동을 시 주석 지시와 당 중앙의 결정에 통일하고 단호한 조치를 취해 전염병의 확산세를 조속히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