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올해 주요국 금리인상 275차례… 내년엔 엇갈릴 것”


올해 들어 세계 주요국들이 인플레이션 급등에 대처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글로벌 평균 금리가 연초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과 유럽연합, 영국 등 주요국들은 이번 주에도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긴축 방향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내년에는 인플레이션과 경제 회복 수준 차이가 나타나 주요국들의 긴축 방향도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11일(현지시간) 주요국들을 대상으로 자체 집계한 글로벌 금리 게이지가 지난 1월 2.8%에서 연말 5.2%로 상승 마감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연초보다 2.4%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현재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오는 13~14일 연리는 연방공개준비이사회(FOMC) 회의 후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시작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 3월 처음 0.25% 포인트 금리 인상으로 제로금리 시대를 끝냈고, 5월 빅스텝, 6·9·10·11월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 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연초 0.0~0.25% 수준이던 금리는 현재 3.75~4.00%까지 올랐다. 오는 14일 빅스텝이 단행되면 기준금리는 4.25~4.50%까지 높아지게 된다.

유럽중앙은행과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도 이번 주 각각 0.5~0.75% 포인트, 0.5% 포인트 금리 인상이 예측되고 있다. 영란은행은 지난해 12월 0.25%포인트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이후 8번 연속 기준금리를 올렸다. 유럽중앙은행도 지난 7월 0.5% 포인트 인상으로 11년 만에 기준금리를 처음 올렸고, 지난달까지 두 달 연속 0.75% 포인트씩 추가 인상을 했다.

블룸버그는 뱅크오브아메리카를 인용해 “올해 전 세계에서 약 275건의 금리 인상을 발견했다”며 “50개국 이상의 중앙은행이 최소 한 차례 이상 0.75% 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주요국들이 금리인상 대응을 위해 긴축 일변도로 나섰지만, 내년에는 경제 상황에 따른 차별화 행보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기 전망과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가 달라 긴축 방향이나 속도가 엇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 10월 7.7%로 지난 6월 이후 1.5% 포인트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오는 13일 발표되는 11월 CPI가 7.3%로 내림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유럽 인플레이션은 지난 10월 사상 최고치인 10.6%에서 지난달 11월 10%로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영국 인플레이션은 지난 10월 11.1%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JP모건은 내년 중반 미국 인플레이션은 약 4%로 하락하지만, 유럽은 6.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경우 고강도 긴축으로 금리 인하의 여유도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선 연준이 내년 6월 기준금리를 5.25%까지 끌어올리고, 연말쯤엔 4.5~4.75%로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동안 유럽과 영국 중앙은행은 압박을 받을 것”이라며 “내년에는 미국과 유럽의 (긴축) 경로가 엇갈릴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