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사건과 관련한정부의 기록물 일부가 오늘(15일) 추가 공개됐다.
보도에 따르면, 오늘 조 바이든 대통령이 관련 문건 공개를 지시해국립문서보관소가 1만2천879건의 파일을 공개했다.
공개된 문건은 지난 2018년 이후 최대 규모다.
백악관은 1만6천여 건의 편집된 기록물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70%가량을 공개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 중 민감한 기록물은 공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이 점을 지적하면서 "(이번 공개가) 공산주의자인 리 하비 오즈월드의 단독 범행이라는 기존 결론을 바꾸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해당 기록이 계속 비공개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내년(2023년) 5월까지 검토할 예정이다.
엄밀한 예외 조건을 제외하면 내년 6월 30일 전에는 미공개 기록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케네디 전 대통령은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자동차 퍼레이드를 하던 중 오즈월드의 총격에 숨졌다.
당시 조사 당국은 사건 발생 10개월 후 오즈월드의 단독 범행으로 결론내렸다.
하지만 오즈월드가 옛 소련 또는 쿠바의 지시를 받았다거나 케네디 정적의 암살 사주설, CIA(중앙정보국) 등 정보기관 개입설 등 음모론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연방 의회는 1992년 관련 법을 통과시켜 이 사안과 관련해 남아 있는 모든 정부 기록을 2017년 10월까지 공개하도록 했다.
다만 국가안보 위험 우려가 있을 경우엔 시한을 정해 공개를 연기할 수 있게 했다.
이 법에 따라 상당수 문건이 1994∼1998년에 공개됐지만, 민감한 정보는 제외됐고 내용이 가려지는 등 편집된 채 공개된 문서도 적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 중에기존 공개 기간이었던 2017년 10월이 도래하자 공개시한을 2021년 10월로 공개 시한을 연기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작년 12월 1천491개의 기록을 공개하면서도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정부 검토가 원활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며 전체 기록 공개를 또다시 1년 미뤘다.
국립문서보관소는 1992년 관련법 제정 이후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과 관련한 정부 기록 약 5만5천 건을 공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