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팬데믹 이후 매장내 절도 급증해.. 소매업체 945억달러 손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 전역에서 매장내 절도가 급격하게 확산해 소매업체들의 손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소매협회(NRF)에 따르면 지난해(2021년) 소매업계의 재고자산 감모손실액은 945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미 소매업계 전체 매출액의 1.4%에 달하는 액수다.

재고자산 감모손실은 도난이나 분실, 유통 중 상품의 부패 등의 이유로 손실 처리된 금액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미 소매업계 재고자산 감모손실의 주된 이유는 도난이라고 전했다.

상품 도난은 소매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지만, 팬데믹 이후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2019년까지 5년간 재고자산 감모손실액은 연평균 7%가량 증가했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한 번에 47%가 늘었다.

코로나19 탓에 매장 내 경비원이나 직원의 수가 줄어든 것이 절도 급증의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으로 인한 상품 부족 현상이 전체 장물의 가격을 높인 것도 절도를 부채질한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현재 미국에서 발생하는 매장 내 도난은 소매업체들의 경영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 유통업체인 타깃의 경우 올해(2022년) 3분기까지 재고자산 감모손실로 인해 매출 총이익이 4억 달러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

할인판매업체인 달러트리는 물가상승과 함께 재고자산 감모손실이 영업이익률을 1% 깎아내렸다고 밝혔다. 

약국 체인 월그린스는 지난해 10월 '조직적인 절도'를 이유로 샌프란시스코 내 매장 5곳의 폐쇄를 결정했다.

또한 홈디포, 베스트바이, CVS 등 주요 유통체인 최고경영자들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직적인 범죄에 대응을 촉구하는 서한을 연방 의회에 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