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전기차 시장의 '테슬라 독주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미국에서는 현대차그룹 등의 부상으로 테슬라 점유율이 하락한 가운데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에 따른 혼란 등 '오너 리스크'가 테슬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는 흐름이다.
또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에서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기업들이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이끌면서 주도권을 잡아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어제(8일) 테슬라의 지난해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하락과 관련해 머스크가 이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보제공업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미국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차 52만5천대 가운데 테슬라의 비중이 65%로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2020년의 79%보다는 14%포인트 빠졌다.
테슬라에 이어 포드(7%), 기아[000270](5%), 쉐보레· 현대차[005380](각각 4%) 등이 뒤를 이었다.
전기차 시장의 경쟁 격화 속에 테슬라 이외의 브랜드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양사 합해 9%를 차지한 현대차·기아를 비롯한 경쟁사들이 테슬라 점유율을 잠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WP는 머스크가 트위터의 위기상황 대응에 집중하면서 테슬라의 부진을 부채질했을 수 있다고 짚었다.
또 그가 트위터 인수 후에 보여준 경영상의 혼란, 극우적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음모론에 호응하는 자세 등으로 인해 그의 과거 팬들이 테슬라 차량 구매를 꺼리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테슬라 대신 다른 브랜드 차량을 구매한 한 소비자는 2년 전이었다면 100% 테슬라를 샀겠지만, 머스크의 최근 언행으로 인해 다른 선택지를 고려하게 됐다고 WP에 말했다.
테슬라는 수요 부진에 대응해 미국과 중국 등에서 연이어 가격 인하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아직 더 많은 안정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단 S&P 글로벌의 스테퍼니 브린리 애널리스트는 아직 전기차 공장을 짓고 있는 다른 업체들과 달리 테슬라는 이미 전 세계에 4곳의 생산시설이 있고 신모델 출시 계획도 있는 만큼 경쟁에서 일정부분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비중이 지난해 5%에서 2025년 17%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업계의 변화도 빠른 만큼 아직 업체 간 경쟁의 승패를 예측하기는 시기상조라고 봤다.
그는 경쟁업체의 진입으로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이 떨어지겠지만 이는 테슬라의 명성 하락이나 생산량 감소를 뜻하는 게 아니며, 수익성이 반드시 떨어진다는 의미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테슬라의 국내 판매량이 지난해 50만여 대에서 2025년 80만대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