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국과 일본 국민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 데 이어 도착비자 발급과 무비자 체류 허가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영국 등 세계 각국이 코로나19가 폭증한 중국발 입국자 검역을 강화한 상황에서 한·일을 겨냥해 또다시 추가 보복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중국 국가이민관리국은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일부 국가가 중국인에 대한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오늘부터 한국 및 일본 국민에 대한 도착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72/144시간 무비자 경유 정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도착비자는 인도주의적 사유나 초청에 의해 비자 없이 중국에 입국한 외국인이 공항이나 항만에 도착해 신청할 수 있는 비자다. 이날 중국 조치에 따라 긴급한 사정이 있을 때 예외적으로 중국을 방문할 수 있는 길이 사실상 막혔다.
아울러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 등 27개 지역에서 144시간 동안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 중인데, 이 정책을 적용받는 53개국 가운데 한국과 일본을 제외했다. 중국을 경유하거나 수일간 체류한 뒤 제3국으로 갈 경우 별도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예상된다. 중국에선 국가이민관리국이 비자 발급 업무를 총괄하고 각 재외 공관이 업무를 위임받아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외교부 업무보고를 받고 “우리의 방역 정책은 어디까지나 과학적 근거에 의한 자국민 보호의 문제인 만큼 중국에 우리 입장을 잘 설명하라”고 주문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업무보고 후 브리핑에서 “우리는 예외 규정을 뒀다”며 “중국이 단기사증 발급을 전면 중단하는 맞대응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출입기자단 신년 만찬 간담회에서 “(중국 조치가) 보복성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중국이 코로나19 대책과는 다른 이유로 비자 발급을 제한한 것은 극히 유감”이라며 “중국 측에 철회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이상헌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