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CA주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한 가운데, 전기차 구입이 늘어가며 대기질과 주민 건강이 일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환경과학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소개된 USC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인구 1천명 당 무공해차 20대가 증가하면 천식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은 3.2% 감소했습니다.
박세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CA주에서 전기차 구입이 늘어나며 대기질과 주민 건강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 환경 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소개된 USC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인구 1천명 당 무공해차(Zero-Emission Vehicle, ZEV)가 20대가 늘어나면 천식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은 3.2% 감소했습니다.
동시에 CA주 뿌연 하늘의 원인인 이산화질소도 일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에리카 가르시아 USC교수는 “우리가 기후 변화를 논의할 때 주로 국제적 수준에서만 이뤄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가르시아 교수는 “하지만 지역적 수준에서 변화를 만들면 커뮤니티 건강을 향상시키고, 정치인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보고서를 위해 지난 2013~2019년 CA주의 무공해차 등록 수, 대기 오염도, 천식 관련 응급실 방문수를 분석했습니다.
무공해차엔 배터리 충전식 자동차,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포함됩니다.
연구원들은 이 기간 인구 1천명 당 무공해차 판매율이 1.4%에서 14.6%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동시에 무공해차를 많이 구입한 지역의 대기 오염도와 응급실 방문이 뚜렷이 감소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교육 수준이 낮은 지역에선 무공해차 구입율도 낮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주민 17%가 학사 학위를 갖고 있는 지역에선 연간 무공해차가 0.7대 증가했지만,
주민 47%가 학사 학위를 갖고 있는 지역에선 연간 무공해차가 3.6대 증가한 것입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환경의 차이를 인식하면 낙후 지역의 환경 정의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동시에 연구원들은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해 무공해차 뿐만이 아닌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등 교통수단의 대대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박세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