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노벨상 수상자 버냉키 “우크라 전쟁, 강달러 등 세계적 사건 주의해야”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달러 강세에 따른 환율 불안 등을 언급하며 금융상황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럽에서는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금융 기관이 압박을 받을 수 있고, (아시아 등) 신흥시장은 매우 강한 달러로 대규모 자본 유출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 문제가 하나의 사건으로 시작되진 않더라도, 해당 상황이 금융 여건을 악화시키면 문제를 심화할 수 있다”며 “이에 대해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미국의 금융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개선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금융위기의 원인은 부실대출이라는 금융 시스템 내부의 문제이지만, 현재 경제 위기는 코로나19 사태라는 외부 요인에서 출발했다며 “(현재 경제 상황은) 14년 전처럼 심각한 곤경에 처해있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럽, 아시아 등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이 재정 문제를 일으키면 미국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버냉키 전 의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강력한 긴축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경제가 연착륙 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매우 어려운 도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준을 향해 “인플레이션 목표는 중기 목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6개월 이내에 충족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지난 8월 미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올라 연준 목표치인 2%를 18개월째 웃돌았다. 연준은 이를 낮추기 위해 고강도 금리 인상을 추가 단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더글러스 다이아몬드 시카고대학 교수도 별도 기자회견에서 “정교하게 조직된 금융 시스템이라도 공포 자체에는 취약하다”며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시장의 공포 확산을 막기 위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끝없이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큰 폭의 금리 인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연준의 긴축 등이 경기침체의 잠재적 지표”라며 “미국과 세계 경제를 압박하는 심각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럽은 이미 경기 침체에 빠진 상태”라며 “이는 미국을 향후 6~9개월 내 경기 침체에 빠뜨릴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