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 “중 정찰풍선, 최소 12개 국 24건 감시 임무 수행”


미국 정부는 정찰풍선이 중국 인민해방군이 운영하는 글로벌 감시 프로그램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미 최소 5개 대륙 12개 국가에서 24건의 정찰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임무는 군사기지 등 민감한 지역의 정보 획득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 정보당국자들은 “최근 우리가 회수한 중국 정찰풍선은 중국군이 운영하는 광범위한 감시 프로그램의 일부”라고 말했다고 CNN이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정찰 프로그램은 최근 몇 년 동안 최소 5개 대륙에서 24건의 임무를 수행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6건의 비행이 미국 영공 내에서 이뤄졌다”며 “반드시 미국 영토 위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WP)도 미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은 세계 12개 국가 이상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중국 정찰풍선을 추적했다”며 “정찰풍선은 태평양 지역에 주로 집중된 것으로 보였다”고 설명했다.

패트릭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 정찰풍선이 라틴아메리카, 남미,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유럽 등지를 포함해 최소 5개 대륙에서 발견됐다며 모두 정찰 목적이었지만 크기와 세부 역량은 다양했다고 설명했다. WP는 “일부 풍선에는 해상도에 따라 매우 정밀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전자광학센서나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돼 있었고, 무선과 위성 전송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고 전했다.

라이더 대변인에 따르면 이번 사건 이전 미국에서 발견된 정찰풍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3건, 바이든 행정부 때 1건 등 총 4건이라고 한다. 그는 “(풍선은) 중국이 관심 가질만한 장소 위를 지나갔다”고 말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도 워싱턴DC 외신센터 브리핑에서 “중국은 정찰풍선 프로그램을 수년간 운영했으며,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규모를 키워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려고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정찰풍선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은 유일한 국가가 아니다. 중국이 정찰풍선을 보낸 사실을 해당 국가가 아예 모르는 경우도 있다”며 전 세계 동맹과 파트너를 접촉해 이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말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적국의 정보 분석에 참여해온 요원과 엔지니어, 과학자로 구성된 전문 기술팀을 투입해 잔해 분석에 나섰다. 하원 정보위원회 관계자는 “중국의 기술력을 볼 수 있고, 해당 장비의 구성 요소와 공급망을 추적해 누가 도움을 줬는지 찾아낼 수 있다”며 “매우 높은 (정보)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을 향한 공세도 계속됐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팩트는 중국이 우리의 주권과 영토를 침해하고 국제법을 위반한 무책임한 행동에 관여했다는 것”이라며 “어느 레벨의 개인이 책임이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중국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앞으로 수일 내에 더 얘기할 것이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풍선을 회수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거의 매시간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도 “미국 상공에서의 중국 정찰풍선은 수년간 다른 감시 및 정보 플랫폼을 포함해서 새 군사 능력에 투자해온 (중국의) 행동 패턴을 확인해준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