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한·일 외교차관 회의에서 강제징용 배상문제를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 조 차관은 1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한·일 양자 협의에서 강제징용 문제가 가장 중심적인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여러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아직은 언제 결론 낼 수 있을지는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상당 기간 협의를 해 왔고, 이견이 좁혀진 부분도 있지만, 아직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다”며 “가능하면 조속히 결론을 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언제 딱 끝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조 차관은 일본 측의 성의 있는 조치나 제삼자 변제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 이견을 묻는 말 “일단 모든 게 다 합의될 때까지 말씀드리기 어렵다. 종합적으로 접점을 찾아야 결론이 난다”며 “잔여 쟁점에 대해 추가로 차관급 또는 장관급에서 협의를 계속하는 것이 현재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 차관은 13일 진행되는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 대해 “윤석열정부 들어 세 번째”라며 “지난 정상회담 결과를 좀 더 세부적으로 협의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과 같은 국제 정세 문제 협력, 인도·태평양 전략 관련 협력 등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확장억제 강화 전략에 대해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에 대해서 확장억제를 실효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한·미 양국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또 중국이 40여 국가에 정찰풍선 프로그램을 운영했다는 미국 측 설명과 관련해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국제 규범을 위배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시하고 그런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뜻을 확고히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