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테슬라 자율주행 대놓고 '저격'.. 슈퍼볼 TV광고 화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광고로 꼽히는 미국프로축구(NFL) 결승전 슈퍼볼의 TV 광고 시간에 전기차회사 테슬라의 운전 보조 기능 완전자율주행(FSD)을 비판하는 광고가 방영돼 눈길을 끌었다.

어제(12일) CNN방송에 따르면 이날 열린 슈퍼볼 경기 도중 방영된 '여명 프로젝트'(The Dawn Project)라는 단체의 TV 광고에는 테슬라 모델 3 차량이 등장해 FSD 모드로 운행하면서 학교앞 횡단보도에서 어린이 모양의 인형을 치고, 유모차를 들이받는다.

이어 방향을 바꿔 스쿨버스의 정지 표지판을 무시하고 지나친 후 '진입하지 마시오'(do not enter) 교통표지판도 그대로 통과해버리는 등 FSD 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된다.

이 단체는 광고에서 기만적인 마케팅과 한심할 정도로 엉터리 기술로 만들어진 테슬라의 FSD는 대중들에게 위협이라고 주장하고 이 광고에 59만8천달러의 비용이 들었다고 공개했다.

이 단체를 만든 소프트웨어업체 그린힐스소프트웨어의 최고경영자(CEO) 댄 오다우드는 지난해 8월에도 이와 유사한 영상을 내놓은 적이 있다.

이에 일부 테슬라 팬들이 FSD 모드의 안전을 증명하는 영상을 만들어 비판하고 테슬라도 오다우드에게 경고장을 보내자 오다우드가 다시 반박하는 등 양측의 대립이 격화돼 왔다.

오다우드는 앞서 수백만 달러의 자비를 들여 국내 전역에 테슬라의 FSD 기술이 가진 위험성을 알려왔으며, 심지어 지난해 6월에는 낙선할 것을 알면서도 이 사안을 홍보하기 위해 캘리포니아 연방상원의원 예비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오다우드는 보도자료를 통해 테슬라가 FSD 소프트웨어를 무모하게 배포하는 것은 공공안전에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다.

테슬라 지지자들은 인텔의 자율주행 자회사 모빌아이가 오다우드의 고객인 점을 들어 오다우드의 행동에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오다우드는 모빌아이가 고객 수백 곳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며, 자신이 하는 행위의 가장 큰 이유는 안전이라고 맞받아쳤다.

CNN은 테슬라의 FSD 기능이 현재 북미지역에서 1만5천 달러에 누구나 구입할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인 시험판이라면서 현재 판매 차량 중에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은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법무부와 도로교통안전국(NHTSA) 등은 FSD와 관련된 운전자 경고 기능을 작동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트윗에 대해 조사 중이다.

이와 관련해 테슬라는 지난달 말 공시를 통해 법무부로부터 오토파일럿과 FSD 기능 관련 문서를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머스크는 지난해말 한 고객이 FSD 베타 버전을 1만 마일 이상 사용한 이용자에게 자동차 핸들에서 나는 잔소리(경고)를 끄는 기능을 넣어달라는 요구에 동의한다며 1월 중에 업데이트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