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가장 똑똑한 사람이 가장 돈 많이 버는 건 아니다"

가장 똑똑한 사람이 가장 돈을 많이 버는 것 같지는 않다는 추적조사 결과가 나왔다.

어제(16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링코핀대 사회학자인 마르크 셰우슈니그는 이런 결론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유럽사회학리뷰에 게재했다.

셰우슈니그는 스웨덴에서 태어난 남성 5만9천387명의 18∼19살 지능을 검사한 뒤 35살부터 45살까지 11년간의 소득을 추적했다.

지능 검사는 징병제에 따라 군대에 갈 때 의무적으로 치른 것으로 언어 이해력, 기술 이해력, 공간능력, 논리 등이 그 대상이었다.

조사 결과, 지능과 소득 수준은 특정 문턱까지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봉 60만 스웨덴 크로나(약 7천400만원)까지는 지능이 높을수록 소득도 높았다.

하지만 그 뒤부터는 소득이 높아지더라도 지능은 거의 그 자리에 머물렀다.

특히 소득 상위 1%에 있는 이들은 그 바로 아래 단계에 있는 이들보다 지능이 살짝 낮았다.

셰우슈니그는 엄청난 보수를 받는 최상위 직업을 가진 이들이 그 절반밖에 못 버는 이들보다 잘났다는 증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극도의 직업적 성공이 능력보다는 가족의 뒷받침이나 행운 덕분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는 동기부여, 사교기술 등 고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비인지능력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 돈을 덜 버는 학자가 되는 등 반드시 고소득 직업을 추구하지는 않는다는 점도 허점으로 지적됐다.

단 셰우슈니그는 고소득층에서 지능과 소득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점만큼은 소득 불평등에 대한 경종으로 주목했다.

그는 스웨덴이 소득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라는 점을 고려하면 다른 나라에서는 그런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셰우슈니그는 최상위 소득자가 내리는 결정은 많은 사람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사회 내부에서 이들을 둘러싼 자격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