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과 주요 7개국(G7) 등이 북한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 비난하며 대북 제재 집행 강화를 촉구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는 공동 성명을 즉각 발표하는 등 단결된 모습으로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에이드리안 왓슨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미국은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테스트를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이번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왓슨 대변인은 “인도·태평양사령부 이번 발사가 미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는 않았다고 평가했지만, 불필요하게 긴장을 고조시키고 역내 안보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이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북한 주민의 안녕보다 우선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우리는 모든 국가가 이번 (결의) 위반을 규탄할 것과 북한에 불안정을 초래하는 행동을 중단하고 진지한 대화에 참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왓슨 대변인은 “국가안보팀은 동맹 및 파트너 국가와 함께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미국은 미국 본토와 동맹국인 한국, 일본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에서도 북한 규탄 목소리가 연이어 터져 나왔다. 회의에 참석 중인 박진 외교부 장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등 한·미·일 외교 수장은 현지에서 긴급 회담을 따로 개최하며 북한을 규탄했다.
박 장관은 “북한은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복수로 위반했고, 한반도와 주변 지역 너머의 긴장을 고조시켰다”며 “우리 3개국은 단합을 보여주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국제사회의 더 강력한 제재에 직면할 것”이라며 “북한에 즉각 도발을 중단하고 당장 비핵화 대화에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도 북한의 안보리 결의 위반을 지적하며 각국에 대북 제재 집행 강화를 촉구했다. 그는 “북한에 영향력이 있는 국가들은 이를 활용해 북한이 최근 몇 년간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야시 외무상은 “북한의 ICBM 발사는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이라며 “한·미·일은 북한의 도발에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빨리 모여서 북한에 대해 강력한 메시지를 발신하고 국제사회가 단합한 모습을 보여주자고 서로 의기가 투합돼 바로 모이게 된 것”이라며 “각자 스케줄이 있지만 시간을 빼서 긴급회동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G7 외교 장관도 뮌헨에서 북한을 비판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G7 외교부 장관들은 이날 회동 후 성명을 통해 “북한의 무모한 행동은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의 중대 조치를 포함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요구한다”며 “모든 국가에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하게 이행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