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블링컨 “中, 러에 무기지원 검토… 심각한 결과 경고”


중국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을 위한 무기 공급을 고려하고 있다고 미국이 밝혔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독일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을 만나 이를 강력 경고했다. 반면 중국은 미국의 정찰풍선 격추를 무력 남용이라고 비판하며 미국 책임론을 거론했다.

블링컨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왕 위원과의 회담 후 CBS 방송과 인터뷰에서 “중국이 러시아에 치명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우려에 관해 이야기했다”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에게 공유한 것처럼 그것(무기 지원)이 우리 관계에 미칠 심각한 결과를 설명했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에는 민간 기업과 국가 사이에 구분이 없다. 우리는 그들이 러시아에 치명적이지 않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봐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가진 우려는 그들이 치명적인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는 정보”라고 강조했다.

블링컨 장관은 치명적인 지원이 무엇을 뜻하느냐는 질문에 “기본적으로 무기이며, 탄약부터 무기까지 모든 범주”라고 답했다.

블링컨 장관과 왕 위원 간 회동은 이달 초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지난 3일 자국 영공을 침투한 중국 정찰풍선 문제에 항의하며 이를 취소했다.

한 시간가량 이어진 이 날 회동에서도 양측은 주요 사안에 대해 평행선을 그었다. 블링컨 장관은 “나는 왕 위원에게 중국이 미국에 정찰 기구를 보내는 것은 주권을 침해하고 국제법을 위반한 사안으로 용납할 수 없으며, 다시는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분명히 말했다”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은 5개 대륙 4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정찰풍선을 사용한다. 뮌헨에서 들은 것 중 하나는 중국 정찰풍선 프로그램에 대한 진정한 우려”라며 이번 사건이 미국에 의해 폭로됐음을 강조했다.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책임 있는 방식으로 관계를 관리할 책임이 있다”며 “소통라인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특히 왕 위원에게 중국이 정찰풍선 문제가 불거졌을 때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의 전화를 받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블링컨 장관은 “위기가 닥쳤거나 다른 상황에 부닥친 경우 잘못된 의사소통이나 오해가 없는 것이 중요하다”며 “나는 중국에 군대를 포함해 그러한 접촉의 중요성을 강조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회동 후 성명을 통해 “블링컨 장관은 주권 침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의 고고도 정찰풍선 프로그램이 전 세계에 노출됐음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또 “중국이 러시아에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거나 제재 회피를 지원할 경우 결과에 대해 경고했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규탄하고, 이와 같은 중대한 국제적 도전에 대응할 책임 있는 권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지적했다.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이 ‘하나의 중국’ 정책에 변화가 없음을 재확인했고, 대만 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다만 “미국은 우리의 가치와 이익을 위해 싸우고 당당하게 지지할 것이지만 중국과의 갈등을 원치 않고, ‘신냉전’을 향해 가고 있지도 않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을 되풀이했다.


왕 위원은 양국갈등의 책임을 미국으로 돌리며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중앙TV에 따르면 왕 위원은 블링컨 장관을 향해 방침이나 태도를 바꿔야 한다는 의미의 ‘개현경장’(改弦更張)이라는 성어를 언급한 뒤 “무력 남용이 중·미 관계에 끼친 손해를 똑바로 보고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CTV는 이날 만남이 미국 측의 요청에 따라 진행됐고, 비공식 접촉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왕 위원은 이날 회동에서 정찰풍선 사태와 관련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고 블링컨 장관이 전했다.

왕 위원은 회동 전 열린 뮌헨안보회의 연설에서도 미국의 풍선 격추에 대해 “사실을 무시하고, 전투기를 출동시켜 위협이 없는 비행선을 격추했다”며 “상상조차 할 수 없고 히스테리에 가까우며 무력을 남용한 것으로, 국제협약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왕 위원은 “지구 상공에는 매일 수많은 풍선이 떠다니는데, 설마 미국은 이것들을 다 격추할 것이냐”며 “이런 방법으로는 미국의 강대함을 증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이 성의를 갖고 잘못을 바로잡고, 양국 관계에 끼친 손해를 해결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왕 위원은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과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등을 겨냥해 “국가 역량을 동원해 중국 기업을 압박하고, 일방주의와 사리사욕으로 세계무역기구의 규칙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왕 위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도 “중국은 평화와 대화의 편에 서 있지만, 일부 세력은 평화회담의 성공이나 휴전을 원하지 않는 것 같다”며 “이 분쟁에서 더 큰 전략적 목표를 쫓는 강대국이 있는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미국이 평화를 원하지 않아 전쟁이 장기화하고 있다고 에둘러 비판한 것이다. 그는 “며칠만 지나면 우크라이나 위기 1주년이 되는데 중국은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입장문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회담 이전까지만 해도 양측 모두 정찰풍선을 둘러싸고 고조된 긴장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며 “그러나 실제 회동에서 드러난 모습은 기대와 차이가 있었다. (양국) 분위기가 다시 개선할지는 확실치 않다”고 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