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를 주도하던 빅테크 기업들이 시련의 계절을 보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여파로 주가가 급격하게 빠지는 가운데 '어닝 쇼크'까지 겹쳐 울상을 짓고 있다.
오늘(27일) CNBC방송에 따르면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 아마존, 테슬라, 넷플릭스, 애플 등 7대 기술주의 합산 시가총액은 지난해 10월27일 10조7천358억달러에서 오늘 7조6천943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꼭 1년 만에 3조415억달러의 시총이 증발한 셈이다.
가장 큰 폭으로 시총이 줄어든 기업은 알파벳으로 작년보다 6천980억달러 감소했다.
MS(6천928억달러), 메타(5천882억달러), 아마존(5천406억달러), 테슬라(3천270억달러), 넷플릭스(1천602억달러)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대장주'인 애플은 시총 1위임에도 불구하고 감소폭이 347억달러에 불과해 빅테크 중 가장 선방했다.
이 중에서도 메타의 추락 속도가 가장 빠르다.
어제 장 마감 후 기대에 못 미친 3분기 실적을 내놓은 메타의 주가는 오늘 장중 최대 24% 폭락해 2016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주당 100달러 선이 무너졌다.
오전 11시 현재 낙폭을 약간 줄여 100달러를 겨우 회복한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메타의 3분기 순이익은 44억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52% 급감했고, 매출은 277억달러로 4% 이상 감소했다.
메타버스 개발에 대한 지출을 늘리는 가운데 4분기 실적 전망은 더 나빠졌다.
이에 따라 모건스탠리는 메타의 목표주가를 기존 205달러에서 105달러로 대폭 낮추는 등 월가의 목표치가 줄줄이 내려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