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동남부와 시리아 서북부를 강타한 지진의 사망자가 현지시간 19일 전날보다 소폭 증가해 4만6천명 선을 유지했다.
튀르키예 당국이 대부분 지역의 구조 작업을 종료한 가운데 전날까지도 있었던 기적의 구조 소식이 이날은 들리지 않고 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튀르키예를 방문해 이번 재난에 대한 연대의 뜻을 전했다.
AFP, dpa 통신 등에 따르면 유누스 세제르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 국장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튀르키예의 지진 사망자가 4만689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 4만642명보다 47명 증가한 결과다.
시리아 서북부에선 정부와 반군 측 사망자 집계가 수일째 5천814명에서 멈춘 상태다.
이에 따라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합친 전체 사망자 수는 4만6천503명이다.
유엔은 시리아 지역 사망자 집계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시리아에선 10년 넘게 내전이 진행 중으로, 구호 작업에서 정부와 반군 간 협력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반군 지역의 구호 여건은 튀르키예 등 다른 피해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하기도 하다.
세제르 국장은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 11개 주 중 9개 주에서 구조 작업이 종료됐다고 밝혔다.
현재는 진앙 지역인 카흐라만마라슈, 피해가 제일 심한 하타이 등 2개 주에서만 구조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세제르 국장은 "누군가의 형제자매를 구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이들 지역에서 계속해서 구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최초 2차례 지진 이후 지금까지 여진은 모두 6천40회로 집계됐다.
오르한 타타르 AFAD 사무총장은 이들 여진 중 5~6 규모 지진이 모두 40차례였으며, 이 중 1차례는 규모 6.6에 달했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동남부 피해 지역에서 대피한 이들은 모두 120만여 명이고, 현재 100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피해지역 임시 대피소에서 생활하고 있다.
튀르키예 환경도시화부 조사 결과 10만5천794개 건물이 파괴됐거나 철거가 필요할 정도로 심하게 손상됐다. 이들 중 2만662개는 완전히 무너졌다.
환경도시화부는 피해를 본 건물 대부분이 주거용 건물이라고 설명했다.
타타르 사무총장은 "손상된 건물에 절대 들어가선 안 되고 멀리 떨어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산사태와 낙석 가능성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이 같은 피해 내용은 튀르키예에 국한된 것으로, 시리아에선 정확한 집계가 없는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