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발적으로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조속한 시일 내 한반도 긴장 완화 가능성을 낮게 보며 미국의 확장 억지를 강조했다.
박 장관은 22일(현지시간) 공개된 CNN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언급하며 “북한이 하는 일은 완전히 잘못됐다. 분명하고, 실재하는 위협”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핵과 미사일 위협을 가중하고 있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의 확장 억지만이 북한의 공격에서 한국을 지킬 유일하게 효과적인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확장 억지 강화는 공동훈련을 비롯해 전략 자산의 효과적 배치와 연관된다”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북한은 자발적으로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는 것 외에 선택지가 없는 환경을 우리가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문재인정부 당시 대북 협상이 성과를 내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우리가 얻은 교훈은 우리가 강할 때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온다는 것이다. 우리가 약하면 그들은 그런 허점에서 이득을 취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어와 억지력을 통해 북한과의 대화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대만 해협 문제와 관련해 “한국은 무력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같은 관점에서 대만 해협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면 우리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해 CNN 인터뷰에서 “만약 중국이 대만을 공격하면 북한 역시 도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는 것이 가장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우린 강철 같은 안보 약속을 유지하고, 한반도 비핵화라는 궁극적 목적을 향해 동맹과 함께 외교와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중국과 러시아를 지목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은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중국으로서도 원치 않고, 장려하는 바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