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연준 “연내 금리인하 없다”… 시장 “사실상 긴축 끝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2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4.75~5.00%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지난해 2월 제로(0) 수준이던 금리는 1년여 만에 5% 가까이 오르며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 됐다. 한국(3.5%)과의 금리 차는 22년여 만에 최대 역전 폭인 1.5% 포인트로 벌어졌다.

연준은 올해 최종 금리 수준을 지난해 12월 전망치와 같은 5.0~5.25%로 제시했다. 향후 한 차례 더 베이비 스텝(0.25% 포인트 인상)을 밟으면 이 수치에 도달하게 된다. 금리 인상 국면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라는 의미다.

연준의 결정은 복잡한 시장 상황을 반영한 줄타기 성격으로 풀이된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 등 지방 은행 연쇄 파산으로 금융 시스템 불안이 커졌지만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단호한 긴축 의지는 은행 시스템 위기를 키울 수 있지만 이를 뒤집으면 물가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제롬 파월(사진)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에도 이 같은 속내가 녹아 있다. 파월 의장은 “사실 몇 주 전까지만 해도 지난해 12월 회의 때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금리 인상이 필요해 보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2주 동안 발생한 은행 시스템 사건으로 가계와 기업에 대한 신용 조건이 더 엄격해져서 노동시장과 수요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다만 “최근 인플레이션 수치의 강세는 압력이 계속해서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노동 시장도 계속 빡빡하다”고 말했다. 긴축을 멈출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FOMC 회의) 참석자들이 올해 중 금리 인하를 전망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며 “연준은 연내 인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장은 연준의 긴축 의지가 약해진 것으로 해석하고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드러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는 이날 조치로 연준의 긴축이 종료됐다는 전망이 과반을 차지했다.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돼 연말쯤 4% 초중반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관측이 다수를 이뤘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