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요즘 스트리밍 서비스 확산으로 각 가정에 스마트TV가 보편화 된 가운데 이를 이용한 신종 ‘스캠’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사기범들은 스마트TV에서 장비 문제로 스트리밍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는 팝업창을 띄운 뒤 접속할 경우 금전은 물론 개인 정보를 빼가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제 스마트TV도 ‘스캠’ 사기로 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기업 개선 협회BBB(The Better Business Bureau)는 최근 스마트TV에 뜨는 팝업창에 따른 ‘스캠’ 사기를 당한다는 사례가 지속해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BB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스마트TV 내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가 접속이 되지 않을 때 관련 장비에 문제가 있다거나 서비스 장애가 있다는 내용의 팝업창이 뜨도록 조치해놓습니다.
이 팝업창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 센터를 사칭한 전화번호 또는 웹사이트 주소가 있습니다.
고객 서비스 센터 사칭 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안내된 웹사이트 주소로 접속하면 비용 지불을 요구하거나 스마트TV를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원격 접속을 허용하면 그 즉시 사기범들이 스마트TV에 접속해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그것을 통해 개인 정보들을 빼가는 것입니다.
문제 해결을 명목으로 신용카드 번호 등 개인 금융 정보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해킹을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각종 기프트 카드 구매 또는 스마트TV 문제 해결 백신 구매를 유도하는 수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기업 개선 협회 BBB는 전화와 문자메시지, 이메일을 넘어 스마트TV에서도 ‘스캠’ 사기가 이뤄질 정도로 사기범들의 수법이 진화하고 있는 만큼 대응법을 숙지해 피해를 예방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스마트TV 사용시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 등록, 인증 수수료를 지불해야한다는 팝업창이 뜰 경우 접속하지말고 인터넷을 통해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의 정식 고객 서비스 센터를 찾아 직접 확인해야합니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해야한다는 팝업창이 스마트TV에 뜰 경우 이를 스마트TV에서 접속할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확인해야합니다.
또 스마트TV가 다른 사람으로 부터 원격 조종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스캠’피해를 방지하는 대응책이라고 BBB는 조언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