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제프리 엡스틴, CIA 국장·백악관 고문·대학교 학장 만났다

감옥에서 생을 마감한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틴이 성범죄 기소 후 CIA 국장, 백악관 고문, 대학교 학장 등 유명 인사를 만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최근 월스트릿저널WSJ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엡스틴은 미성년자를 유인해 성착취한 혐의로 지난 2008년 감옥에서 13개월을 복역한 뒤 정ㆍ재ㆍ학계 인사들과의 만남을 수차례 주선했다.

다만 이들 인사는 아직 특정 혐의로 기소되지 않았고, 엡스틴과의 만남이 사업적 또는 사교적 목적으로 인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또 일부 인사는 엡스틴의 비밀 장부나 전용기 여행 일지엔 이름이 오르지 않아, 매체는 엡스틴과의 실제 만남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실제로 일어난 것인지 분명치 않다고 짚었다.

엡스틴의 이메일과 스케줄 등 자료에 따르면 작가, 교수이자 시민 활동가인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는 2015년 엡스틴과 함께 비행기로 이동해 엡스틴의 맨해튼 자택에서 함께 저녁 식사 약속을 잡았다.

오랜 시간 바드 컬리지 학장을 맡아온 레온 밧스틴(Leon Botstein)은 엡스틴을 수차례 만나고 심지어 캠퍼스에 직접 초대했다.

버락 오마바 행정부 백악관 고문이었던 캐스린 루엠러(Kathryn Ruemmler)는 골드만 삭스 변호사로 이직하기 전 엡스틴과 10여 차례 만났고, 2015년 파리, 2017년 카리브해로 동반 여행을 떠났다.

엡스틴과 만난 것으로 드러난 대부분의 인사는 “엡스틴과의 만남이 그의 부와 인맥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했고, 일부는 “엡스틴이 재활에 성공했다고 생각했다”고 둘러댔다.

특히 촘스키는 “마당발 금융가와 정치적, 학업적 토론을 원했다”고 말하고, 밥스틴 학장은 “엡스틴으로부터 학교 기금을 후원받으려 했다”고 말했으며, 루엠러 변호사는 “로펌 재직 당시 변호사-의뢰인 관계로 만났다”고 말했다.

한편, 매체가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엡스틴은 스위스 은행 에드먼드 드 로스차일드 그룹의 애리앤 드 로스차일드(Ariane de Rothschild) CEO, 헨리 키신저 컨설팅사의 조슈아 쿠퍼 라모(Joshua Cooper Ramo) 대표와도 친분을 쌓았던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