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오월의 정신 아래 우리는 모두 하나"

L.A. 5.18 기념사업회(회장 정찬열)가 18일 LA 한국교육원에서 '5.18 민주화 운동 제43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1부 기념식과 2부 강연 순서로 진행됐고, 김영완 LA 총영사, 정찬열 LA 5.18 기념사업회장, 이승우 민주평통 LA협의회장, 김용현 한민족 평화 연구소장, 최석호 전 CA주 하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김 총영사는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하며 "이 땅의 자유 민주주의는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며 "우리는 모두 오월의 정신으로 위협과 도전에 직면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실천하며 창의와 혁신 정신으로 산업 고도화, 경제 번영을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정찬열 LA 5.18 기념사업회장은 추모사를 통해 "조국의 민주주의와 독재타도를 외치다 국가공권력에 의해 숨져간 영령들을 위해 삼가 두 손을 모은다"며 "기억하는 한 역사는 되풀이 되지 않고, 역사적 사실은 온전히 보전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용현 한민족 평화연구소장은 추모사를 통해 "우리는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고, 미래를 열어가야 한다"며 "43년 전 인권과 민주주의가 침해당하는 곳에 투사들이 있었듯이 오늘 우리가 다시 영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이승우 민주평통 LA협의회장은 기념 축사를 통해 "5.18 광주의 정신을 살려 대한민국 민주화를 구현하는 길은 분단의 정신적 극복, 남북의 경제교류, 최종적으로는 남북의 정치적 통일"이라며 "민주화와 더불어 평화통일 문제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오위영 테너는 추모 기념 노래 '눈'을 제창했고, 샤론 오 LA 5.18 기념사업회 운영위원은 시인 심언의 '탑'을 낭송했다.

정찬열 LA 5.18 기념사업회장은 에드워드 구 5.18 기념재단 LA 상임대표와 정성업 5.18 기념재단 LA상임대표에게 공로패, 김종배 80년 당시 민주투쟁위원장이자 전 국회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강연에선 김종배 전 의원이 강사로 나서 '80년 5월, 열흘의 기억'을 주제로 수십년 전 5.18 사건을 생생히 묘사했다.

한편, 5.18 기념 재단 자료에 따르면 5.18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사망자 166명, 후유증 사망자 376명(자살 39명)를 비롯 수천 명의 실종, 부상, 구속 및 고문 피해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