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국인, 20여년 새 음주량 '껑충'.. "남북전쟁 시대 수준"

[앵커멘트]

최근 미국인들의 알코올 섭취량이20년 새 껑충 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미국인들이 남북전쟁(1861∼1865년) 때만큼이나 많은 양의 술을 마시고 있으며, 특히 1990년대 중반과 비교하면 위스키와 같은 증류주 소비량이 60% 늘었다는 분석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미국인들이 1990년대 중반보다60% 가량 더 많은 양의 독주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음주량이 증가하면서 독주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NIAAA)는 최근 낸 '1인당 알코올 소비 추정' 보고서에서 미국인의 연간 알코올 소비량을 분석했습니다.

2021년 1인당 음용 알코올 소비량은 2.51갤런 이었습니다. 

이는 포도주와 맥주, 증류주를 모두 합친 것이지만, 물이나 다른 원료를 빼고 에탄올만 계산한 양입니다.

전년인 2020년(2.44갤런)보다는 2.9%에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2019년보다는 5.5% 늘어 2년새 증가율로 따졌을 때 1969년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습니다.

26년 전인 1995년 2.15갤런 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6.7% 많다.

특히 증류주의 경우 1995년 0.63갤런에서 2021년 1.01갤런으로 60.3% 소비가 늘었습니다.

포도주는 0.29갤런에서 0.44갤런으로 51.7%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맥주만 1.24갤런에서 1.06갤런으로 14.5% 줄었습니다.

미국의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1970∼1980년대 꾸준히 2.5갤런을 웃돌았다가 음주운전과 미성년 음주 근절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던 1990년대 중후반 저점까지 떨어졌으나 이후에는 다시 서서히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더 길게 보면 현재 미국인들의 음주량은 남북전쟁 시대로 회귀한 꼴이라는 지적입니다. 

남북전쟁 직전인 1860년 알코올 소비량은 2.53갤런으로 추산됩니다.

국내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음주량이 늘어난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먼저 여성 음주가 늘어난 점이 꼽힙니다. 

한때 남성과 여성의 음주 비율은 3대 1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2000년대 TV 드라마의 성공 속에 도시에서 칵테일이나 고급 바 문화가 확산했고, 고도수 주류업체들이 수십년간 TV 광고를 자제했던 분위기가 사라지면서 광고가 급증했습니다.

더 최근에는 팬데믹 기간에 변화가 감지됐습니다. 

국내에서 팬데믹 봉쇄 기간 술 판매점은 다른 가게와 달리 문을 열 수 있는 필수사업장으로 지정됐고, 배달까지 가능해지면서 애주가들이 술을 즐기기에 알맞은 분위기가 됐다는 겁니다.

그나마 1980년대 이후 음주문화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꼽히는 것은 미성년 음주가 크게 줄었다는 점입니다.

앤드리아 킹 시카고대 교수는 청소년 음주는 1980년대 이후 지속해서 줄고 있다며어른들의 폭음은 늘고 있지만, 학생들의 절주는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