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산 극복을 위해 매년 거액의 예산을 투입하는 한국에서 어린 아이의 업장 출입을 금지하는 이른바 '노키즈존'(no-kids zones) 영업이 성행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주류언론이 조명했다.
CNN은 지난24일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에서 노키즈존의 타당성을 두고 의구심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어른들이 방해받지 않는 환경을 만들려는 노키즈존은 최근 몇년간 한국에서 눈에 띄게 인기를 끌었다며 카페와 식당에서 아이들을 막는 것은 출산 장려에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지적했다.
CNN은 여러 단체를 인용해 노키즈존이 제주도에만 80곳이 있고 전국적으로는 400곳 이상 운영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한국의 지난해 출산율은 0.78명으로 일본(1.3명)이나 미국(1.6명)보다 훨씬 아래이며, 세계에서 가장 빨리 진행되는 고령화 문제로 인해 노동가능인구가 줄어들며 연금·의료비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CNN은 이미 한국의 젊은이들은 천정부지로 솟은 부동산 가격과 장시간 근로, 경제적 불안감 등으로 압력을 받고 있다며 노키즈존 비판자들은 사회가 어린이들에 대한 태도를 바꾸도록 한국 정부가 힘써야 한다고 말한다고 언급했다.
CNN은 노키즈존 도입을 촉발한 결정적인 계기로
2012년 2월 발생한 푸드코트 화상 사건을 지목했다.
당시 한 여성이 서울 광화문의 한 서점 식당가에서 아들과 식사하다가 자신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종업원이 아이의 얼굴에 뜨거운 국물을 쏟고 별다른 조치 없이 사라졌다며 맹비난하는 내용의 글을 인터넷에 올려 순식간에 논란이 됐다.
해당 50대 종업원은 소셜미디어에서 '된장국물녀'로 불리며 지탄을 받았지만, 얼마 후 아이가 식당에서 마구 뛰어다니다 종업원에게 부딪힌 후 국물을 뒤집어쓰고 다시 어디론가 달려가는 모습이 담긴 CCTV가 공개되며 여론은 급반전했다.
아이의 행동을 제어하지 못한 어머니를 향해 비난의 화살이 집중됐고, 이후 부모의 자녀 훈육 책임과 관련한 논의가 활발해짐과 동시에 노키즈존이 카페뿐만 아니라 식당과 다른 사업장으로까지 번져가게 됐다는 설명이다.
CNN이 인용한 2021년 11월 한국리서치가 시행한 여론조사에서 '사업주가 행사하는 정당한 권리이자 다른 손님에 대한 배려'라는 이유로 노키즈존 운영을 허용할 수 있다는 응답이 71%에 달할 정도가 됐다.
당시 '허용할 수 없다'는 비율은 17%에 그쳤다.
CNN은 아이가 없는 성인들은 물론 일부 자녀를 둔 부모들조차 노키즈존에 찬성한다고 전했다.
두 살배기 아들을 둔 이모씨는 아이랑 외출할 때 종종 눈살이 찌푸려지는 상황을 보게 된다며 공공시설과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아이들의 행동을 관리하지 않는 부모가 많이 있는만큼 노키즈존이 왜 있는지 이해할만한 구석이 있다고 말했다.반면 노키즈존에 불편함을 느끼는 부모도 많다.
김모씨는 가게에 노골적으로 '노키즈' 간판이 붙어있는 것을 보면 공격당하는 느낌이 든다며 한국에는 '맘충'같은 말이 있을 정도로 엄마들에 대한 혐오가 있고, 노키즈존이 이런 정서를 정당화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