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대법원이 대학 입시에서 소수 인종을 우대해온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 정책에 위헌 결정을 내림에 따라 대학가가 다양한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어제(2일) 보도했다.
특히 일부 대학에서 지원자들이열악한 환경에서 성장하며 겪은 어려움을가산점 요소로 평가하는 이른바'역경 점수'(adversity scores)가 주목받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법원 결정이 내려진 지난달 29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위헌 결정을 비판하면서자격을 갖춘 지원자 중 학생이 극복한 역경을새로운 평가 기준으로 고려하기를 제안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법원 판례에 크게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대학 구성원 사이에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나온 발언이다.
이와 관련해 NYT는 2019년 미 대학 입학 자격시험 SAT를 관장하는대학위원회가 도입한 '역경 점수'와 함께 2012년부터 운영 중인 UC 데이비스의 학생 선발 과정을 소개했다.
UC 데이비스 의과대학은 자체적으로 마련한 '사회경제적 차별 척도'(SED)에 따라 모든 지원자를 0∼99점으로 등급을 매긴다.
이를 학교 성적, 시험 성적, 추천서, 자기소개서 및 면접 점수 등 지표와 종합한 점수를 통해 최종적으로 합격자를 가려내는 것이다.
특히 1996년 이후 인종에 따른 입학 우대 정책을 금지해온 CA 주립대학에서 이런 정책을 운용해왔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고 NYT는 짚었다.
50개 주 가운데 CA를 비롯해 미시간, 플로리다, 워싱턴, 애리조나, 네브래스카, 오클라호마, 뉴햄프셔, 아이다호 등 9개 주는 이미 공립대에서 소수인종 우대가 금지된 상태다.
이 때문에 미국에선 이미계층간 사다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과대학협회(AAMC) 통계에 따르면의사의 자녀는 다른 또래보다 의사가 될 확률이 24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흑인 의사 숫자는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고 NYT는 언급했다.
국내 흑인 인구는 13.6%이지만, 개업 의사 중 흑인 비율은 6%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