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진드기로 인해 발생하는 육류 알레르기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오늘(28일) CNN과 BBC 등 매체가 보도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 붉은 고기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알파갈증후군'이 내국인 최대 45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진단이 어려워 정확한 통계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이 수치가 사실이라면 국내 식품 알레르기 가운데 10번째로 흔한 질환이 된다.
국내 전문가들은 알파갈증후군이 '론스타 진드기'라고 불리는 진드기(학명 'Amblyomma americanum')의 타액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외관상 등 부분에 흰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론스타 진드기는 미국 남부 및 동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서식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 진드기의 타액에는 '알파갈'(alpha-gal)이라는 당류 생성 효소가 들어있는데, 이 성분이 피부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진드기에게 물린 인체가 면역반응을 일으키면서 알파갈을 경계하게 되고, 이 물질이 함유된 육류 또는 동물성 식품을 섭취할 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돼지고기와 소고기, 양고기, 우유를 비롯해 일부 의약품과 화장품 등에 대해서도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위경련, 설사,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치명적인 아나필락시스(특정 물질에 대한 과민 알레르기 반응)로 이어질 수도 있다.
CDC는 2010∼2022년 전국에서 알파갈증후군 의심 사례 11만건이 확인됐으며, 2017∼2021년 진단 사례가 매년 약 1만5천명씩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진단상의 어려움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국민 중 45만명이 이러한 질환으로 영향을 받고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육류는 소화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증상이 있더라도 알파갈증후군에 연결 짓기가 상당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CNN에 따르면 알파갈증후군 환자는 육류 섭취 이후 4∼6시간이 지난 뒤에야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는 경우가 대체적이다.
의사들이 이러한 증후군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진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CDC가 지난해 의료 및 보건업 종사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42%가 이 알레르기에 대해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해당 질환을 식별할 자신이 없다는 응답도 전체의 3분의 1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따뜻한 계절일수록 이 흔히 발생한다며 야외에서 몸을 가리고 진드기에게 물렸는지 수시로 확인하라고 권고했다.
디에칠톨루아미드(DEET) 성분이 들어간 벌레 기피제를 사용하거나 페메트린 처리된 의류를 착용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