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한동안 100달러 수준에 머무는 것만으로는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받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BE)는오늘(20일) 브렌트유가 100달러를 찍은 뒤 올해 4분기부터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인플레이션 영향을 시뮬레이션했다.
그랬더니 미국은 물가가 0.9%포인트 추가 상승하고 유로 지역과 영국의 경우 미국의 절반 수준일 것으로 추산됐다.
이런 결과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전망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BE는 분석했다.
BE의 안나 안드레이드·제이미 러시 이코노미스트는 이 모델은 정책 결정권자들이 아마 이런 종류의 충격을 간과할 것이라는 걸 의미한다며그들은 심지어 수요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약 20년간 중국에 의존해왔던 석유 시장이 앞으로는 인도에 의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CNBC방송에 따르면 에너지 분석업체 페레이던 페샤라키 팩츠글로벌에너지 회장은 최근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세계석유총회(WPC)를 통해앞으로 3~5년 안에 중국의 석유 수요가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컨설팅사 우드맥킨지도 중국의 석유 수요가 2027년까지 정점에 달할 것으로 관측했다.
2020년 중국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에 이른 뒤 2060년까지는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의 빈자리는 인도가 채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드맥킨지의 샤스칭 컨설턴트는 CNBC방송과 인터뷰에서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최대 석유 수요 증가의 중심이 될 것이라면서 인도와 동남아 다른 신흥 경제국들의 전반적인 석유 수요는 2040년대 초까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점쳤다.
하지만 에너지 컨설팅 기업인 라피단에너지그룹 등 일각에서는 중국의 석유 수요가 정점에 이르기까지 짧게는 몇 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