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LA시 개혁을 위해 시 지역구 확대안이 추진되는 가운데 시의원 수가 늘어나는 만큼 투입되는 예산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을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효율성 문제로 LA시의원의 높은 연봉과 각종 품위 유지비, 할당되는 지역구 전용 예산 등을 조율하면 막대한 예산을 들이지 않고 개혁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 현직 LA시의원들의 부정부패와 인종 차별 발언 논란 등으로 LA시에서는 개혁을 위한 준비가 진행중입니다.
독립적인 선거구 재조정 시스템 구축과 LA시 지역구 확대가 대표적입니다.
이 가운데 LA시 지역구 확대는 100여 년간 이어진 관례를 변화시키고 시의원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안이기 때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LA한인회와 한인타운 청소년 회관 KYCC, 한미 연합회 등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흑인, 라티노 단체 연합인 OUR LA는 자체 공청회를 통해 주민들의 목소리를 모아 LA시에 전달할 계획을 진행 중입니다.
LA시 개혁에 대한 요구는 기존 15개 지역구를 23 - 31개로 늘리자는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LA시 지역구를 확대할 경우 시의원 수가 늘어나는 만큼 투입되는 예산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결국 예산 낭비가 될 수 있다는 반대 의견이 나옵니다.
LA시 15개 지역구에 연간 210만 달러씩 총 3천 150만 달러가 할당되는데 단순 계산으로 접근할 경우 LA시 지역구가 21개로 늘어나면 연간 1천 260만 달러가 늘어난 4천 410만 달러, 31개로 확대되면 3천 360만 달러가 추가된 6천 510만 달러가 됩니다.
지역구가 늘어나게 되면 당연히 LA시의원과 직원 수, 사무실 운영비, 전용 예산 등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결국 효율성의 문제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뉴욕 시의원 연봉은 17만 5천 달러인 반면 LA시의원 연봉은 약 24만 달러입니다.
그리고 LA시의원에게는 차량 구입 비용도 약 5만 달러 지원되는 등 품위 유지 비용이 뒤따릅니다.
LA시 각 지역구 별 전용 예산은 100만 달러에 달합니다.
LA시의원 지역구 확대는 필요 없는 거품은 뺀 뒤 개혁을 통해 주민들의 한 표를 받아 선출된 시의원들로부터 시민으로써의 권리를 누리자는 목소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LA시의원 1명이 관할하는 시민 수는 약 26만 5천여 명으로 뉴욕 시의원 1명이 관할하는 17만 3천여 명, 시카고 시의원 1명이 관할하는 5만 5천여 명보다 월등히 많습니다.
LA시의원들에게는 막강한 파워와 더불어 혜택들이 뒤따르지만 주민들에 대한 충분한 민원 서비스 제공에는 항상 의문 부호가 붙습니다.
이에 따라 철저하고 세밀한 분석을 통한 LA시 개혁을 이끌어 시의원을 위한 LA시가 아닌 시민을 위한 LA시로 거듭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