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리포트] 테슬라 “200만대 리콜”.. 전문가들 “안전 문제 여전” 비판

[앵커멘트]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최근 주행 보조 기능인‘오토파일럿’ 결함을 수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판매된 거의 모든 차량을 리콜하겠다고 발표했지만사고에 대한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리콜 조치가오토파일럿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테슬라가 최근 주행 보조 기능인'오토파일럿' 결함을 수정하기 위해국내에서 판매된 거의 모든 차량을 리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오토파일럿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에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제(17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리콜 조치가 오토파일럿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앞서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오토파일럿 관련 교통사고를 조사한 뒤 이 기능에 오용 가능성을 막을 충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테슬라는 지난 13일 200만대 리콜을 발표했습니다.

또 경고 기능을 추가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기능을 켤 수 있는 지역 자체를 제한하는 등 더 강한 규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기술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뉴욕 카도조 법학대학원의 매슈 완슬리 교수는 교차 교통이 이뤄지는 도로에서는 오토파일럿을 사용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재 오토파일럿 사망 사고가 '기본적으로 설계된 특정 장소와 상황(ODD·Operational Design Domain) 밖에서
작동할 때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AP통신에 따르면 지난 13일 LA 법원은 오토파일럿 관련 사망 사고로 처음 형사 기소된 사례로 추정되는 테슬라 운전자 케빈 리아드에게 2만 3천달러의 보상금 지급을 명령했습니다.

리아드는 지난 2019년CA주의 한 도로에서 테슬라 오토파일럿을 작동시킨 상태로 주행하던 중 고속도로를 빠져나온 직후 교차로에서 혼다 시빅을 들이받아 탑승자 2명을 숨지게 했습니다.

유족을 대리하는 변호사 도널드 슬라빅은 성명에서 최근 발표된 테슬라의 리콜이 오토파일럿의 사용이 통제된 고속도로로 제한했다면 이 비극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