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테슬라 등 11개 차량 주행 자동화 시스템 안전 불량"

주요 자동차 모델에 적용된 자동 주행 기능의 안전성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나왔다.

자동차 안전 평가 기관인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는 오늘(12일) 각 제조업체의 부분 주행 자동화 시스템(partial driving automation system)을 처음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전체 14개 시스템 중 단 1개만이 적합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 가운데 2개는 적합에 가까운 수준, 11개는 불량으로 평가됐다.

평가 대상은 BMW, 포드, 제너럴모터스(GM), 제네시스, 렉서스, 메르세데스-벤츠, 닛산, 테슬라, 볼보의 각 주행 자동화 시스템 1∼2개씩이었다.

렉서스 LS에 탑재된 '팀메이트' 시스템은 테스트에서 유일하게 적합 등급을 받았다.

GMC 시에라와 닛산 아리야는 적합에 가까운 수준으로 평가됐다.

포드 머스탱 마하-E와 제네시스 G90,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세단, 테슬라 모델 3, 볼보 S90은 부분 자동화 시스템의 1가지 이상 버전에서 불량 등급을 받았다.

IIHS​ 데이비드 하키 회장은 "대부분의 시스템에 오용을 방지하고 운전자가 도로에서 일어나는 일에 주의를 잃지 않게 하는 적절한 조치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운전자가 주행에 집중하고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지만, 테스트 결과 그리 강력하지는 않았다는 설명이다.

운전자의 주의가 흐트러졌을 때 경고를 충분히 하지 않고,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거나 다른 중요한 안전 기능이 꺼진 상태에서도 자동 주행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IIHS에 따르면 포드의 시스템은 운전자의 얼굴이나 카메라 렌즈가 가려지면 즉시 경고를 표시했지만, 운전자의 손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는 감지하지 못했다.

BMW 시스템은 카메라 렌즈나 운전자의 얼굴이 가려졌을 때 반응하지 않았고, 렉서스와 제네시스의 시스템은 운전자가 주행에 관여하지 않고 반복되는 경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상조치를 취하지 못했다고 IIHS는 전했다.

또 차간 거리를 유지하게 해주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기능의 경우 교통체증 등으로 정차한 뒤 안전을 위해 최소 2분이 지나고 운전자가 도로를 주시하고 있을 때 작동될 수 있어야 하지만, 테슬라와 BMW의 시스템은 언제든 이 기능을 재개할 수 있었다고 IIHS는 지적했다.

IIHS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부분 주행 자동화 시스템에 보다 강력한 안전장치를 도입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새로운 등급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등급은 운전자의 의도적인 오용과 장시간의 주의력 상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안전장치를 장려하고 자동비상제동장치(AEB)가 꺼져 있거나 안전벨트를 풀었을 때 작동될 수 있는 시스템 등 위험을 높이는 특정 설계를 억제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IIHS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