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리포트] 버리지 못하는 '저장강박증'..정부적 대책·지원 필요

[앵커멘트]

필요 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두는 이른바 저장강박증이 늘면서 정부 차원에서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특히 시니어들이 많고, 이웃과 교류도 적어 사각지대에 놓인 경우가 많아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전예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논란이 됐던 LA 패어펙스 ‘쓰레기 집’.

주택을 둘러싼 마당에는 못쓰게 된 물건이나 쓰레기가 널브러져 있었습니다.

결국 시정부가 봉사 인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청소작업에 돌입했고 하루에만 7톤의 쓰레기가 수거됐습니다.

이처럼 물건을 버리지 않고 모으는 이른바 ‘저장강박증’은 일종의 정신질환입니다.

미 전역 인구 약 2%~6%가 이 증상을 가진 것으로 집계되지만 전문가들은 치료를 받지 않는 이들이 많아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원 노령화 특별 위원회는 이달(7월) 초 ‘저장강박증’을 다룬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의회가 이 문제를 다룬 건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위원회는 보고서에서 저장강박을 가진 시니어들이 늘고 있다고 지적하고 연방 정부가 긴급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저장강박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보고서는 개인의 주거 위생 문제뿐만 아니라 감염질환을 유발해 공중 보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아울러 사회적 고립감, 또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접근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미흡하다고 보고서는 평가했습니다.

약물 남용 및 정신건강 서비스국이나 커뮤니티 생활 관리국 등 정부 기관에 이 주제를 다루는 특정 프로그램이 없다는 겁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가 이 주제와 관련 온라인 리소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저장강박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주민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공공캠페인을 마련함과 동시에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혜택에 관련 치료를 포함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이 밖에도 증상을 겪는 개인을 비롯해 그의 가족들과 직접 소통할 방법을 마련하고 지역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이에 대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보고서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만큼 연방 정부에게 그동안 간과해 온 저장강박 등 관련 문제 해결에 우선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전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