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재선 성공 후 프랑스 극우 진영에서 ‘부정선거 음모론’이 퍼지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이 극우 성향의 마린 르펜 국민연합(RN)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자 부정선거 음모론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FP는 “프랑스 역사에서 선거 그 자체에 관한 정당성에 대해서는 의심받은 적은 거의 없었다”며 “선거 결과에 대한 공격은 프랑스 민주주의 제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에서는 2017년 대선에서도 부정선거 논란이 있었지만, 당시는 일부 후보의 선거자금 불법 사용에 관한 문제였을 뿐 선거의 정당성 자체에 대한 문제 제기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번 선거 과정에서는 선거 자체에 대한 정당성을 훼손시킬 수 있는 의혹이 줄을 잇고 있다. 프랑스여론연구소(Ifop)의 3월 14일 조사에 따르면 대선 1차 투표와 결선투표가 ‘조작될 수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14%였다. 르펜 후보 지지자와 또 다른 극우 후보인 에리크 제무르 르콩케트 후보 지지자 중에서는 각각 30%와 29%가 선거 조작을 의심했다.
반면 마크롱 후부 지지자는 7%, 극좌 성향의 장뤼크 멜랑숑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 후보 지지자는 18%가 ‘조작될 수 있다’고 답했다. 선거가 합법적으로 치러질 것이라는 응답은 절반을 가까스로 넘겼고 31%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