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전 세계 어린이 3명 가운데 1명 정도가 근시일 정도로 시력이 나빠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990년 대비 근시 아동 비율이 3배나 껑충 뛰었는데코로나 이후 증가세가 더 뚜렷해 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 세계적으로 시력이 나빠지고 있는 아동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어제(24일) BBC에 따르면 중국 연구팀은 영국 안과학회지(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에 실은 연구논문에서 전 세계 어린이 가운데 근시 비율은 36%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1990년에 비해 무려 3배나 늘어난 겁니다.
특히 일본 어린이의 85%,한국 어린이의 73%가 근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소개했습니다.
반면 파라과이와 우간다 어린이의 근시 비율은 1% 정도에 불과했으며 미국과 영국, 아일랜드 어린이의 근시율도 15% 정도에 그쳤습니다.
이번 연구는 6대륙 50개국의 어린이와 10대 청소년 5백만 여만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어린이 근시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채택한 봉쇄정책으로 어린이들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스크린을 보면서 지낸 시간도 함께 늘어난 것이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겁니다.
연구팀은 아동 근시가 늘어난 또 다른 이유로 유전적인 요소도 지적되고 있지만,동아시아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근시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싱가포르나 홍콩 같은 곳에서는 2살부터 아이 교육을 시작한다면서 이는 아이들의 눈 근육에 부담을 줘 근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6살에서 8살 사이에 교육을 시작하는 아프리카 어린이의 근시 비율은 아시아보다 7배 정도 낮다고 연구팀은 부연했습니다.
연구팀은 또한 남성보다 여성이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근시 비중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연구팀은 2050년까지 어린이 근시 비중이 전 세계 어린이의 절반 정도로 늘어날 수 있다고 근시가 전 세계적인 건강 문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연구팀은 2050년까지 아시아 지역 어린이의 근시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69%에 이르고 개발도상국 어린이의 근시 비율도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