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北의 '선제공격' 재차 언급에 연방정부 "조건 없는 대화" 거듭 촉구

연방정부는 어제 (30일) 선제 핵 공격 가능성을 재차 언급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발언과 관련, 미국은 대북 적대적 의도가 없다면서 조건 없는 대화를 거듭 강조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은 국제 평화와 안보, 글로벌 비확산 체제에 대한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을 억제하고, 도발이나 무력 사용을 방어하고, 가장 위험한 무기 프로그램의 능력을 제한하고, 무엇보다 미국민과 우리의 배치된 군대와 동맹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중요한 관심이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우리의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면서 "우린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고, 전제조건 없이 북한을 만나는 데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하지만 우린 또한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처하고 이미 시행 중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한국과 일본 방어에 대한 우리의 약속은 철통과 같다"고 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한국시간 30일 김 위원장이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기념 열병 을 지휘했던 군 수뇌부들을 격려하는 자리에서 "적대세력들에 의해 지속되고 가증되는 핵 위협을 포괄하는 모든 위험한 시도들과 위협적 행동들을 필요하다면 선제적으로 철저히 제압·분쇄하기 위해 우리 혁명무력의 절대적 우세를 확고히 유지하고 부단히 상향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김 위원장이 열병식 당일 선제 핵 공격 가능성을 시사한 것의 연장선이다.

국무부의 반응은 북한의 계속되는 위협에도 완전한 비핵화 목표 속에 북한이 하루속히 대화의 장에 복귀하길 바란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상기한 것이다.

국방부 대변인도 연합뉴스의 질의에 북한이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비핵화 기조 속에 동맹과 긴밀히 협력해 대응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이는 지난 25일 김 위원장의 열병식 연설에 대한 입장과 동일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