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오늘(19일) 기준금리를 또 동결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29일, 올해 처음이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렸던 FOMC에 이어 2회 연속 동결했다.
일각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됐지만 물가 하락 추이가 둔화한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 등을 감안한 동결 결정으로 풀이된다.
분기 말마다 공개하는 경제전망예측SEP에서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예측함으로써 연말까지 0.25% 포인트씩 2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는 지난해 12월의 예측치를 유지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점도표에 따르면 직전인 지난해 12월 예측 때 FOMC 위원 19명 중 15명이 2025년 안에 2회 이상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나 이번에는 11명으로 줄었다.
금리 인하의 보폭을 넓히려면 '물가상승률 2%' 목표 달성을 향한 가시적 진전이나 가파른 경기 악화 신호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현재로선 그와 같은 움직임이 충분치 않다는 것이 FOMC 위원들의 판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FOMC가 지적한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은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에도 반영됐다.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에 제시한 2.1%에서 1.7%로 하향 조정했다.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연말 예상치는 2.7%로, 연말 '근원 PCE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2.8%로 각각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