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금값 3천200달러 첫 돌파.. 스위스프랑 10년만에 최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오늘(11일) 한때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천200달러를 넘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오늘 장 중 한때 온스당 3천220달러 8센트로 상승,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다.

금 현물 가격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서부시간 자정 기준 전장 대비 0.63% 오른 3천196.3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금값은 올해 들어 21% 넘게 올랐고, 상호관세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진 이번 주에만 5%가량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미국산에 84% 맞불 관세로 대응하면서 미중 갈등이 갈수록 첨예해지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 달러화 약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분위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지정학적 긴장,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향후 주시해야 할 가격대로 3천500달러선을 꼽으면서도 곧장 그 가격대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금값이 강세인 반면 달러화는 약세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이날 장 중 한때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다.

달러인덱스는 서부시간 어젯밤 11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0.343 내린 100.524에서 움직이고 있다.

안전자산 수요로 엔화는 강세를 보이면서 엔/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0.5엔 내린 143.95엔에 거래 중이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프랑도 강세다. 

달러 대비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어제 주간 거래 종가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415%,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41% 수준이다.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지만, 범중국 증시는 당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 속에 선방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2.96%)를 비롯해 국내 코스피(-0.50%), 호주 호주 S&P/ASX200(-0.82%) 등이 약세를 보였다. 

반면 대만 자취안 지수는 2.78% 올랐다.

서부시간 어젯밤 11시 43분 기준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26%)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25%)도 상승했다.

홍콩 항셍지수(+0.98%),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1.58%), 홍콩에 상장된 대형 기술주 30개로 구성된 항셍테크지수(+2.01%)도 오름세다.

항셍테크는 최근 4거래일 연속 상승 중이지만, 고점 대비로는 시가총액 규모가 3천500억 달러 가량 줄어든 상태다.

약세를 보였던 국제 유가는 반등 중이다.

5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1.71% 오른 배럴당 61.10달러를 기록, 60달러 위로 올라선 상태다. 

6월물 브렌트유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1.64% 오른 64.37달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