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일단은 마무리되는 것으로 보이고 있는 이번 인사 파문은 집권 이후 이재명 대통령에게 나타난 첫번째 위기라는 분석이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본격적 리더십 시험이자 인사 기준에 대한 국민 신뢰의 균열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는 이재명 대통령이 자신있게 내세운 이른바 ‘실용주의 인사’ 기조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청문회 과정에서 갑질 의혹이 집중적으로 제기됐지만 대통령실은 "청문회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원칙을 고수했고, 결국 국민 여론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임명을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같은 도덕성 검증보다 실용성을 우선시하는 인사 스타일은 이번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 ‘갑질 의혹’이 전면에 부상하면서 오히려 ‘측근 감싸기’ 혹은 인사 기준의 모호함으로 비춰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결과적으로 계속된 ‘갑질 의혹’ 속에 강선우 후보자의 낙마는 대통령실의 정치적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만들었다.
특히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은 철회하면서도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서는 끝까지 임명을 고집하고 추진한 점에 대해 “그 기준이 무엇이냐"는 국민적 의문이 제기됐고 이에 대한 해명은 나오지 않았다.
이와 함께, 이처럼 인사 논란이 불거졌음에도 이에 대해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접적 해명이나 소통이 없었던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민감한 인사 사안에 대해서 국민 설득에 나서는 리더십이 대통령은 물론 대통령실에서도 실종됐다는 비판이다.
대통령실과 여당 민주당 사이에 당정 관계에서도 건강한 견제와 조율 기능이 작동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계속 악화되는 여론에도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결정을 뒷받침하는 데 급급했고, 원내 지도부 일부는 “갑질은 주관적일 수 있다”는 발언으로 오히려 비판 여론을 더 키우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우상호 정무수석의 언론 인터뷰 발언을 통해서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 인사 결정에 반영됐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여당의 정무 판단력에 대한 회의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한국 정치권에서는 이번 인사 논란을 계기로 대통령실과 여당이 국민과의 소통 방식, 인사 검증 원칙, 당정 관계 전반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