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LA 카운티 주택 소유율, 53년만에 최저치

LA 카운티의 주택 소유율이 5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USC 연구팀의 최신 보고서가 나와서 충격을 주고 있다.

USC ‘Neighborhood Data for Social Change’(NDSC)가 최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LA 카운티 주민들 중 거주하는 집을 직접 소유한 비율은 45%로, 캘리포니아 주와 미국 전체 평균치보다 더 낮았다.

이렇게 자가주택 비율이 낮아진데는 집값과 소득 격차 심화가 가장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 USC 연구팀의 분석이다.

주형석 기자입니다.

LA 카운티 주민들 주택 소유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데 가장 큰 원인은 주택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것이었다.

USC 발표 보고서에서 2023년 LA 카운티 주택 중간 가격이 가구 소득 중간값의 무려 10배에 달했다.

이는 미국 전체 평균인 4배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이다.

특히 연소득 5만~15만 달러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010년 대비 31%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증가 속도를 주택 공급이 따라가지 못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신규 주택 1채당 56명이 늘어나는 등 주택 공급, 인구 증가 사이에서 불균형이 장기간 누적됐다.

여기에 로컬 정부의 정책도 문제로 지적됐다.

1978년 시행된 프로포지션(Proposition) 13으로 인해 부동산세가 매입 시점 기준으로 묶이면서 기존 주택 소유자들의 거주 이동이 줄었다.

이러다보니 LA 카운티 주택 소유자의 거의 절반 가까이가 20년 이상 같은 집에 거주하고 있을 정도가 되버려서 주택 매매가 이뤄지기 매우 어려운 구조로 평가되고 있다.

USC 보고서는 지역별 주택 소유와 임대 추세도 살폈다.

임대에서 소유로 전환율이 높게 나타난 지역은 웨스트코비나, 몬터레이 파크 등 샌 개브리엘 밸리 일부로 나타났다.

세리토스와 노워크 등 샌 퍼낸도 밸리 일부 지역도 샌 개브리엘 일부 지역처럼 임대에서 소유로 전환율이 높았다.

반면 소유에서 임대 전환이 높은 지역으로는 사우스 LA, 몬테벨로에서 포모나 동부 지역, 앤텔로프 밸리 일부 등이다.

이렇게 소유에서 임대로 전환율이 높아 주거 이동성이 높은 지역은 학교 재정, 상권, 지역사회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고 USC 루스크 부동산센터 연구진은 강조했다.

USC 보고서에 따르면 흑인 가구 주택 소유율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이는 2007년 주택시장 붕괴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피해, 역사적 레드라이닝(redlining) 정책 등 구조적 문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LA 카운티 레드라인 지정 지역의 현재 주택 소유율은 30%에 불과해,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LA 카운티 평균 45%보다 크게 낮았다.

주택 임대 시장도 부담이 심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7년간 완공된 주택 15만 2천여 유닛 중 83%가 임대용이지만, 이 중 연소득 5만 달러 미만의 저소득층에 적합한 임대주택은 10%에 불과하다.

저소득층 세입자들 중 거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있는 90%는 소득의 30% 이상을 주택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그런 90% 중 70%는 소득의 절반 이상을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다.

지난 7년간 건설된 저소득층 임대주택은 12,000여 유닛에 불과해, 최대 60만여 가구가 주거비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금융업계는 정부 보조금과 복잡한 인허가 절차 대신 민간 자본을 활용한 고밀도 단독주택 개발, 기존 주택 리모델링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USC 보고서는 연방정부의 주거 보조금 투자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의 공공주택 지원 예산은 GDP의 0.2% 미만으로, 영국(1.4%), 핀란드(0.9%)보다 크게 낮아서 문제점으로 꼽혔다.

USC 루스크 센터 리처드 그린 소장은 이번 조사와 관련해서 GDP의 1%면 모든 미국 가구가 소득의 30% 이하를 임대료로 지출하도록 주거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이른바 ‘1% 해법’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