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한국 대기업 공장을 단속하면서 발생한 '한국인 무더기 구금' 사태로 한미관계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총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구체화하는 관세 후속 협상은 물론 한국 대기업의 대미 투자 향방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민단속으로 한미관계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제목의 기사로 지난 4일에 있었던 근로자 475명의 체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에서 이뤄진 가장 큰 규모의 현장 단속 작전이라며 한미가 관세 및 투자를 놓고 수개월간 껄끄러운 협상을 한 이후 이번 단속이 이뤄졌다는 점을 주목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한미 양자 관계는 현재도 진행 중인 관세 협상으로 민감한 국면에 놓여 있다면서 미국이 관세를 인하하는 대가로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하겠다는 점이 협상의 주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현대,LG와 같은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은 이런 투자 추진에 큰 역할을 할 것 이라며 그러나 이번 이민 단속은 한국 기업과 정부 당국자들에게 미국 내 사업 운영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진단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은 미국의 최대 교역국이자 아시아에서 가장 긴밀한 안보 동맹 중 하나지만, 관세 협상 속에서 긴장이 유지됐다면서 미국과 한국 당국자들은 여전히 무역 합의의 세부 사항을 조율 중 이라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이번 체포는 한국 정부 당국자와 현대차를 당황하게 했다면서 한국 정부가 가까운 동맹이면서도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현대차가 지난 3일 '미국 내 월간 판매량이 8월에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호실적을 발표할 당시에 미 당국이 이미 수색영장을 확보하고 있었다고도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단속은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서 한국계 커뮤니티를 상대로 하는 사업체들에도 큰 충격을 주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