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8개 나라들의 우정국이 미국행 국제우편을 일부 또는 전면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전 세계 물류가 혼란에 빠진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7월 말부터 ‘소액통관 면제(De Minimis)’ 규정을 전격 중단하면서 전 세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우편과 소포 물류가 거의 마비된 것이다.
미국의 기존 해외 우편, 소포 소액통관 규정은 해외에서 발송되는 $800 미만 상품에 대해 세금과 관세를 면제했다.
그런데 올해(2025년) 7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으로 모든 수입품에 국가별 세금과 관세를 부과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마약, 위조상품 등의 밀반입 차단과 무역적자를 해소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로드니 스캇 CBP(관세국경보호국) 국장은 이제 미국에 위조상품이나 불법 밀수품 등을 들여와 그것을 범람시키는 시대가 끝났다고 언급했다.
로드니 스캇 국장은 미국 가정을 보호하고 무역질서를 공정하게 회복시키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처럼 미국이 소액통관 규정까지 강화하면서 그 여파가 미치고 있다.
UPU(세계우편연합)이 발표한 통계 수치에 따르면 지난달(8월) 29일 현재 미국행 국제우편량이 81% 급감했다.
우편망 혼란으로 개인과 소규모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지속적인 피해 확산 가능성 때문에 우려하고 있다.
마사히코 메토키 세계우편연합 사무총장은 세계 단일 우편영역에서 자유로운 물류 흐름이 보장돼야 한다며 미국행 국제우편 재개를 위한 기술적 대책을 신속히 마련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제 전자상거래와 개인 소포 배송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고, 중소상공인들의 피해가 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과 유럽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긴장이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같은 물류 지연 현상이 장기화되는 경우에는 미국 소비자들의 배송비 상승과 배송 지연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화와 무역보호 정책이 우편과 물류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글로벌 우편 시스템 재편 논의까지 촉발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