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LA 카운티 불법체류자 95만여 명, 주민 10명 중 1명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6월부터 LA 지역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면서 이민자 사회가 극심한 불안과 혼란에 빠지고 있다.
거리 노점상 밀집 지역이 한산해지고, 주민들이 연방이민단속국, ICE 단속을 우려해 학교와 직장을 피하는 상황까지도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USC 공평연구소(Equity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LA 카운티에는 약 95만여 명의 불법체류자들이 거주하고 있어 전체 인구의 대략 9%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족 중 한 명 이상이 불법체류자인 가정을 포함하면 그 비율은 약 20%, 즉 5명 중 1명꼴로 늘어난다.
이 중 74% 이상은 미국 거주 10년 이상 장기체류자이고, 18%는 30년 넘게 미국에 거주한 이민자다.

출신국으로 분류하면 멕시코 출신이 가장 많고, 이어 과테말라와 엘살바도르 등의 순서다.

중국계 불법체류자도 약 32,000여 명으로 4번째 규모다.

원주민 공동체로는 자포텍(Zapotec), 키체(K’iche’) 등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들이 최소 24개가 LA 카운티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시아계 비율은 전체 불법체류자의 약 10.6%가 아시아계로, 한인 사회도 단속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ICE는 범죄 전과자 중심 단속을 주장하지만, 로컬 언론사인 LAist가 최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ICE 구치소 수감자의 평균 82%는 범죄 경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속 과정에서 가족이 생이별하는 사례가 늘면서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의 불안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LA 카운티 5살 미만 아동의 20%가 최소 한 명의 불법체류 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

약 86만여 명의 시민권자들이 불법체류 가족 구성원과 함께 거주하고 있다.

이번 USC 자료에 따르면 불법체류자의 90%가 경제활동 연령인 18~64살 사이에 있으며, 청소와 건물관리(37%), 음식 서비스(25%), 건설업(40%) 등 필수 산업에서 핵심 노동력을 담당하고 있다.
2023년 기준 LA 카운티 불법체류자들은 연방과 주, 지방세로 37억 달러 이상을 납부했다.

LA 카운티 불법체류자의 80%가 세입자다.

단속 여파로 노동자가 직장을 떠나거나 체포될 경우 임대료 체납과 주거 상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USC의 마누엘 파스토르 교수는 연방 이민단속이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LA 지역사회 전반에 불안을 조성하고 경제적 타격을 주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대규모 단속으로 인해 지역 사회가 분열되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특히 한인 사회를 포함한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경우에도 중남미 출신들 보다는 불법체류자 숫자가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언제든지 단속 대상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