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국내 금융시장 불안 재확산.. 소규모 은행 '예금이탈' 가속도

[앵커멘트]

국내 소규모 은행에 대한 불안이 다시 확산하고 있습니다.

금융 불안과 경기 침체, 물가, 부채 한도 등국내 경제를 둘러싼 각종 불안 요인이 실타래처럼 얽히면서금융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는 모양세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방정부의 채무 한도 데드라인이 가까워지면서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와 국내 소규모 은행에 대한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어제(25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주가는 49.4% 급락했습니다. 

11개 대형 은행이 제공한 300억 달러를 제외하고 올해 첫 3개월 동안 퍼스트리퍼블릭의 예금이 1천 20억 달러 감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입니다. 

이에따라 시장 불안감은 업계 전반을 대상으로 확산됐습니다. 

웨스턴얼라이언스의 주가가 5.58%, 팩웨스트방코프와 시그니처뱅크가각각 8.92%, 15.71% 떨어졌습니다.

이에 신용 경색 가능성도 점점 커졌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예금 감소 우려가 클수록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예금 금리를 올려야 하고 이는 은행 수익성 감소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출 금리를 높여 신용 공급을 줄이는 결과가 됩니다.

전문가들은 소규모 은행들은 대출을 줄여 나갈 것이라며 이런 신용타격은 성장에 부정적 요인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 디폴트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날 백악관은 공화당의 부채한도 관련 예산안이 상하원을 모두 통과할 경우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현재 공화당은 31조3800억 달러인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를 내년 3월 까지 1조5000억 달러 상향하는 대신, 내년 예산을 1300억 달러 삭감하는 내용의 예산안 통과를 추진 중입니다. 

백악관은 극단적인 양보를 끌어내려는 무모한 시도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부채 한도 처리 시한을6월 초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 때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산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이런 분위기에 소비자들도 소극적입니다.

웰스파고의 이코노미스트인 팀 퀸란은 금융 혼란과 금리 인상이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줬다며 여기에 소비자들이 부채 한도 문제의 위험에 대해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