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CA주의 개솔린 가격이 정유소 폐쇄와 원유 생산 감소, 높은 세금 등의 요인으로 전국 평균보다 40% 이상 높게 유지되면서 운전자들의 부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 차량 규제 강화라는 반강제적인 제도를 통해 오는 2035년까지 값비싼 친환경 차량으로 갈아타게 만들 것이 아니라 주민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친환경 차량에 접근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CA주의 개솔린 가격은 지난 2001년 이후 160% 이상 올랐고, 현재는 전국 평균보다 43% 더 비쌉니다.
국제 원유 가격은 올해 들어 19% 하락했지만, CA주의 상황은 다릅니다.
세금과 각종 비용이 계속 늘어나 개솔린 소매가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갤런당 약 61센트에 달하는 소비세는 전국에서 가장 높습니다.
문제는 공급입니다.
앞으로 정유소 2곳이 문을 닫을 예정이고, 주내 원유 생산은 수십 년째 감소세입니다.
반면 운전자들의 수요는 줄지 않고 있어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해외 수입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습니다.
현재 CA주의 원유 수입 의존도는 전체의 64%로, 1980년대 초 6%에서 10배 이상 늘었습니다.
USC 마샬 경영대학원 마이클 미셰 교수는 CA주가 세계적으로 앞선 기술과 안전한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높은 규제와 인허가 장벽 때문에 스스로 위기를 만들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친환경 정책 확대 기조에 주력하는 CA주의 현 행보가 가장 큰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CA주는 오는 2035년까지 내연기관 신규 차량 판매를 전면 금지하고 친환경 차량만 탈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고 정책들을 추진중입니다.
이를 위해 친환경 차량 인프라 구축, 내연기관 차량 관련 규제를 강화해 왔습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은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구매 비용이 비싸 일반 서민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속에 연방 정부의 7천 500달러 보조금 지급도 중단되기 때문에 일반 서민들에게 친환경 차량은 타고 싶어도 비싸서 탈 수 없게 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CA주는 내연 기관 차량 규제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친환경 차량 확대를 원한다면 그에 맞는 대책 마련에 보다 비중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