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Wall Street Journal은 미국 소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가 주춤하면서 공연, 여행, 외식 등 지난 2년 동안 억눌린 소비 심리가 폭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최근 들어서 코로나 19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변종들이 미국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소비 물결을 막지 못하고 있다.
하위변종들의 전파력과 백신 회피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중증력, 치명력 등이 이전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비해 약해진 것으로 보여 사람들이 소비에 나서는 것을 막지는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Wall Street Journal은 미국 소비 양상이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다며 코로나19 이전처럼 여가 활동을 즐기는 소비자가 최근 들어서 급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영화를 비롯해 공연, 외식, 여행, 풋볼 관람 등 외부 활동과 관련된 수요가 지난 수개월 동안에 폭증했다.
미국 대표 공연 티켓 플랫폼인 Live Nation에 따르면 지난 2월 미국 내 공연 매출은 2019년 2월에 비해 45% 증가했다.
늘어난 수요에 맞춰 미국 공연기획사들도 바빠졌는데 2019년에 비해 약 30% 정도 더 많은 공연을 개최할 계획이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여행업계도 최근 들어서 수요가 급격하게 회복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연방 교통안전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4월) 셋째주에 1주일 동안 하루 평균 200만여명이 항공기를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부터 3년 전인 2019년 같은 기간 4월 셋째주에는 하루 약 240만여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항공기에 탑승했다.
미국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인 풋볼도 큰 호황을 누렸다.
지금은 오프 시즌이지만 시즌 동안에 풋볼 티켓 예매율은 대학풋볼, 프로인 NFL 모두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미국 소비자들이 외부 활동을 늘리자 관련 상품 판매도 증가세를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IRI는 미국 소비자들이 구체적으로 탈취제, 치아 미백제, 면도기, 화장품 등에 쓰는 지출을 늘렸다고 발표했다.
반대로 Home Baking과 요리 관련 제품 수요 등은 줄었다.
IRI는 Grocery Market의 맥주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레스토랑과 Bar 등 외식산업이 번창하고 있다며 외출이 잦아지면서 관련 산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나온 미국의 과거를 살펴보면 매번 위기를 겪은 뒤 소비 폭증이 뒤따랐다.
지난 2001년 9·11테러 사태 이후 소비가 급증한 것을 비롯해서 2005년 남동부 지역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강타한 뒤에도 소비 열기가 대단했다.
위태로운 상황이 진행되는 동안 소비를 하지 못한 사람들 대부분이 그런 위기를 극복한 이후 자연스럽게 소비에 나서는 행태를 보인 것이다.
Wall Street Journal은 그런 결과에 대해 보복 소비가 반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