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고유가 시대 속 전문가들 “석유 주식이 새로운 빅테크 우량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가가 치솟자 석유 관련 주식들이 새로운 빅테크 우량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올해 S&P 500지수에서 가장 높은 실적을 낸 종목은 거의 에너지 주식이다.

CNN은 워렌 버핏을 포함한 많은 투자자들이 당분간 고유가 시대가 지속될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고유가 시대로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와 같은 빅테크 우량주로 떠오르는 것이다.

지난해 말 국제 유가는 배럴당 약 75달러였으나 현재는 100달러 이상으로 급등했다. 버핏이 운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에너지 급등에 정유업체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에 투자해 주가가 2배로 올라 지수에서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S&P 500지수 종목 중에서 에너지 부문은 올해 러시아산 에너지 대란으로 40% 이상 치솟았다. 발레로, 마라톤 오일, 할리버튼 헤스, 엑손 모빌 등 역시 높은 실적을 냈다. 특히 석유와 가스 회사인 다이아몬스백 에너지는 올해 25% 가까이 올랐다.

그러나 빅테크라고 불리는 기업들은 에너지 종목보다 오히려 급락세를 보인다. 세계 최대 OTT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는 유료회원이 급락해 70% 이상 주가가 내려가 올해 S&P 500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또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Meta)도 주가가 40% 이상 감소했다.

CNN은 에너지 주가 최근 10년 동안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인플레이션이 곧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유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해 주요 산유국, 시추업체, 원유 등과 관련한 회사들에 이익이 될 징조라는 점도 들었다.

현재 에너지 주는 S&P 500에서 4.4%에 불과하지만 빅테크 주식들은 전체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아직 에너지 주가 빅테크 우량주를 따라잡기엔 무리가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비스포트인베스트먼트 그룹은 “에너지 주가 더 넓은 시장에서 더 큰 주도적 역학을 되찾을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