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형제의 나라, 터키? 이제 ‘튀르키예’로 부릅시다


형제의 나라 ‘터키(Turkey)’의 국호가 ‘튀르키예(Türkiye)’로 변경된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스테판 두자릭 UN 대변인이 “UN은 외국어로 표기된 모든 공식 문서에서 국호를 변경해달라는 터키의 공식 요청을 승인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영어식 표기인 터키(Turkey)의 국호를 터키어 발음 규정에 따라 ‘튀르키예(Türkiye)’로 철자를 변경한 것이다.

두자릭 대변인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메블뤼트 차우쇼을루 터키 외무장관으로부터 국제무대에서 터키 대신 튀르키예를 사용해달라는 서한을 받았다”며 “국호 변경 효력은 즉시 발생한다”고 말했다.

터키인들은 자국을 영어식 표현인 터키 대신 현지 언어 표현인 튀르키예로 불러왔다. 터키의 정식 국호 역시 ‘튀르키예 공화국’이다. 튀르키예는 ‘튀르크인의 땅’이란 뜻이다.

터키 정부는 지난 연말부터 ‘헬로 튀르키예’ 캠페인을 펼치며 국호 변경에 나섰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튀르키예는 터키의 문화와 문명, 가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라며 국호 변경 성명을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국호 변경 이유로 영어식 표기인 터키에 대한 좋지 못한 자국 내 시선을 꼽았다. 영어 단어 터키(turkey)가 터키인과는 아무런 상관 없는 칠면조를 뜻할 뿐 아니라 겁쟁이, 패배자 등을 뜻하는 속어로도 쓰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유엔이 국호 변경을 승인한 만큼 터키의 국호 표기 변경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원익 주터키대사는 “터키 외교부에서 국호 표기를 변경해달라는 공문이 온 이후 표기 변경 여부를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상대국의 요청으로 현지 발음에 따라 지명 표기를 변경한 사례가 있다. 지난 3월 1일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우크라이나 지명이 러시아식으로 잘못 사용되고 있다”며 지명 표기 변경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수도 키예프는 ‘키이우’, 루간스크는 ‘루한스크’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