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WHO “원숭이두창 확산, 의료폐기물 부실관리 때문일 수도”


최근 유럽 지역에서 원숭이두창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폐기물의 부실 관리가 그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야생동물 분과 윌리엄 카레시 대표는 지난 2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아프리카 외부 지역에서 확산하는 원숭이두창을 비롯한 감염병이 인간의 의료폐기물을 통해 동물로 전파돼 널리 퍼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에서처럼 설치류가 의료 폐기물을 물어가며 바이러스를 전파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교외 지역 병원에서 의료폐기물을 야외에 방치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1958년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됐다. 다람쥐와 쥐 등 여러 다른 동물도 걸릴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카레시 박사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전파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어떤 종을 통해 감염됐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천연두와 증상이 비슷하다고 알려진 원숭이두창의 인간 감염 사례는 1970년 처음 보고됐다. 이후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풍토병이 됐다. 나이지리아에서는 2017년부터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나오고 있다.

아프리카 풍토병으로 알려진 원숭이두창은 지난달 7일 영국 감염 사례를 시작으로 유럽과 미주∙중동∙호주 등지에서도 확진자가 속출했다.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찾고 있다.

WHO는 1일까지 비풍토병 지역 30여개국에서 550건 이상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