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정부, 우크라 원전에 120만달러 지원 결정


정부가 러시아로부터 군사적 위협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원자력발전소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120만달러(약 15억원)의 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이 지원금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우크라이나 정부에 전달된다.

외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원자력안전위원회 원전 관련 4개 부처는 8일 이같은 내용의 우크라이나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일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고 있는 IAEA 정기 이사회에서 이러한 지원 계획을 예고했었다.

우리 정부가 제공한 지원금은 우크라이나 원전의 안전 확보와 방사성폐기물 관리·안전조치 이행에 필요한 IAEA 인력 파견, 장비, 물자 구매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원전 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IAEA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한다”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된 여타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인도주의적 방식을 통해 우크라이나 경제·사회 활동의 정상화를 돕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한국에 인도적 지원과 함께 러시아 침공 대응에 필요한 무기 제공을 요청했었다. 이에 정부는 인도주의적 방식으로 지원하겠다는 뜻을 여러 번 강조해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날 진행된 이도훈 외교2차관과 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무차관 면담 내용을 소개하면서 “면담에서 우크라이나 측은 그간 우리의 지원에 대해 사의를 표명하고 무기 지원, 재건 참여 등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인도적 지원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국민을 지원해 왔고 앞으로도 이러한 방식의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응답했다”고 언급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부 차관을 접견하고 우크라이나가 평화를 조속히 회복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면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100일 넘게 계속되면서 인명피해가 계속 발생하는 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 우크라이나 국민이 전쟁 전의 일상을 되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세닉 차관은 “우크라이나 국민을 위한 한국의 지원에 사의를 표명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연대가 우크라이나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지원을 요청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