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맥주의 나라’ 독일, 공병 부족에 맥주 못 만들 지경


독일의 맥주 업체들이 공병 부족으로 맥주 생산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독일이 환경보호를 위해 병 재사용 확대를 규정한 재활용법을 시행하고 있는데 소비자들의 비협조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맥주 업체들이 공병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독일은 현재 공병 재활용을 위해 병당 8유로센트(약 107원)의 공병 보증금 반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공병 회수율이 극히 저조한 상태라고 한다.

독일 1500개 맥주 업체들이 유통한 맥주병이 40억개에 달해 전체 물량 면에서는 부족하지는 않지만 다수의 소비자가 빈 병을 반납하기보다는 집안에 쌓아두고 있기 때문에 공병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독일 노이젤레에서 양조장을 운영하는 슈테판 프릿체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와 곡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도 문제지만 양조장 입장에서 가장 큰 문제는 전례가 없을 정도로 맥주병이 부족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활용법에 따라 판매하는 맥주의 80% 정도가 병맥주인 상황에서 공병 회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면서 특히 소규모 양조장에는 치명적이라고 한탄했습니다. 대형 양조업체인 벨틴스도 공병 회수율이 3∼4%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벨라루스의 맥주병 생산과 공급이 급감하면서 가격이 80% 넘게 급등했다. 이에 독일양조협회는 방송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병 반납 캠페인까지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맥주 소비자체도 줄었다. 독일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독일 맥주 소비량은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1993년보다 24%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